명제훈 KT 엔터프라이즈 통신사업본부 본부장(왼쪽), 김주영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개인정보안전활용본부 본부장 (사진=KT)
명제훈 KT 엔터프라이즈 통신사업본부 본부장(왼쪽), 김주영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개인정보안전활용본부 본부장 (사진=KT)

KT(대표 김영섭)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이상중)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불법 스팸을 차단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최근 급증하고 있는 불법 스팸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KISA 보유 스팸신고 정보를 KT의 ‘AI클린메시징’ 기술로 분석한 뒤 발신번호 블랙리스트를 제공하고 ▲KISA는 KT가 제공한 블랙리스트 번호를 검증하고 국내 문자중계사업자에게 공유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AI클린메시징 기술은 ▲스팸 매세지 데이터를 분석해 악성 웹페이지나 스미싱 설치 파일(APK 형식)을 연결하는 URL를 찾는 ‘URL 모델’과 ▲불법 스팸 등 특정 의도를 담은 문자와 정상적인 문자를 구분하는 소형언어모델(sLM)로 구성된다. 

KT는 올해 1월부터 대량문자 시스템에 AI클린메시징 기술 등을 적용해 스미싱·도박 등 불법문자를 탐지해 차단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KISA는 스팸신고 데이터를 분석해 스팸 전화번호를 전체 문자중계사에 공유함으로써, 해당 번호로부터 발송되는 대량문자를 일괄 차단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AI가 문자내용에 포함된 URL의 악성여부를 판단하고, 문맥을 탐지하여 사전에 스팸을 차단하는 형태로 10월부터 개선할 예정이다.

김주영 KISA 개인정보안전활용 본부장은 “이번 협력으로 스팸 차단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되며, KISA는 앞으로도 관련 기관과의 협업을 지속 확대하는 등 스팸 대응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명제훈 KT 엔터프라이즈 통신사업 본부장은 “국내 전체 스팸 유통량을 줄이기 위해 민관이 협력하여 AI 등과 같은 ICT 기술을 적극 활용, 불법 스팸으로부터 이용자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라고 전했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