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핀란드 교도소에서 수감자들이 인공지능(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 라벨링 작업을 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핀란드는 수감자 인권 보호로 유명한 국가로, 강제 노역이 아니라 새로운 기회를 주려는 의도로 알려졌다.

유로뉴스는 최근 일부 핀란드 교도소에서 AI 관련 작업을 도입, 전통적인 교도소 노동의 관행을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핀란드에서는 2년 전부터 일부 교도소에서 라벨링 작업을 도입했다. 이는 AI 스타트업과 협력, 수감자들에게는 재활 기회를 주고 부족한 핀란드어 데이터를 확보하려는 의도다.

특히 핀란드야는 500만명 정도가 사용하기 때문에 관련 데이터가 적고, 임금이 워낙 높아 라벨링 작업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아이디어는 10년 전 핀란드 법무부에서 연수를 받았던 유시 비르날라 메트로크 설립자가 냈다. 그는 관련 기관에 아이디어를 전달했고, 관계자들은 이를 좋은 아이디어라며 받아들였다.

작업에 참가한 한 수감자는 "의미 있는 활동을 위해 작업을 선택했다"라고 밝혔다. "AI는 새로운 주제였고, 관심을 불러일으켰다"라며 "돈을 벌기 위한 목적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작업은 3인 1조로 한 방에 앉아 노트북으로 3시간 동안 작업하는 식이다. 특히 핀란드는 '스마트 교도소'라는 개념을 도입, 수감 중에도 인터넷 화상 통화를 하고 이메일을 사용할 수 있다. 외부 생활과 유사한 조건을 유지하려는 '정상성 원칙'을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다.

일부는 육체노동에 비해 단조롭고 지루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이를 통해 기술을 이해하게 됐으며 생활 리듬을 찾게 됐다는 호평도 나왔다.

이 프로젝트를 모니터링하는 투카 레흐티니에미 헬싱키대학교 연구원은 "컴퓨터를 이용한 이 데이터 작업은 미래 지향적이고 바람직하다"라고 전했다.

한편, 라벨링 작업은 몇년 전부터 저소득 국가에서 낮은 임금이나 스트레스 등이 문제로 지적됐다. 지난해에는 케냐의 라벨러들이 데이터에 포함된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콘텐츠로 인해 고통받는다는 말도 나왔다.

그러나 핀란드에서는 충분한 휴식 시간과 공정한 보상이 주어진다고 강조했다. 특히 엄격하게 통제되는 교도소 환경에서는 착취와 같은 문제가 일어나기 더 어려우며, 기술회사를 위한 것이 아닌 재활을 위한 것이라고 관계자들은 강조했다.

메트로크 역시 교도소 노동에만 전적으로 의존할 수 없다는 점을 인정하며, 창립자인 비르날라를 포함한 직원들이 직접 주석 작업을 한다고 밝혔다.

레흐티니에미 연구원은 "내 경험 상 AI 작업에 참가한 대부분 수감자는 계속하고 싶어 했다"라며 "물론 이 작업이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