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메타가 미국 정부 기관과 국방 계약 업체들에게 인공지능(AI) 모델 '라마'의 사용을 허용했다. 이는 중국 개발자들이 라마를 군사 기술에 활용한다는 우려에 대응하고, 공공 부문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메타는 4일(현지시간) 미국 정부 기관 및 국방 계약업체들에 자사 AI 모델 ‘라마’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이날 메타가 발표한 파트너 목록에는 록히드 마틴, 부즈 앨런 해밀턴, 팔란티어, 안두릴과 같은 방산 업체는 물론 오라클, 아마존 웹 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 국방 기관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민간 업체도 다수 포함됐다.

닉 크레그 메타 글로벌 담당 사장은 "우리는 미국이 지지하는 기업가 정신과 민주적 가치 덕분에 성공을 거뒀다"라며 "미국과 동맹국의 안전, 안보 및 경제적 번영을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메타가 라마의 군사적 사용을 공식적으로 허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라마는 오픈 소스지만, '군사, 전쟁, 핵 관련 산업, 스파이 활동 등에는 사용할 수 없다'라는 제한을 뒀다. 그러나 이번에는 미국 국방 기관과 계약 업체에 대해서 예외를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또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미국을 포함한 5개국 간 기밀 정보 동맹 ‘파이브 아이즈(Five Eyes)’ 회원국의 정부 기관과 계약 업체에도 모델을 제공하기로 했다.

이번 결정은 중국이 라마를 활용해 군사용 AI를 개발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직후 이루어졌다.

중국 군사과학정보연구센터, 국방기술혁신연구원, 베이징공업대학, 민족대학의 공동 연구팀은 자신들이 개발한 군사용 AI 모델 '챗BIT(ChatBIT)'를 메타의 라마 2에 약 10만건의 군사 대화 기록을 통합해 만든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중국은 실제로 인민해방군의 전략 기획, 시뮬레이션 훈련, 지휘 의사결정 등에 챗BIT를 사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메타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라마 모델 사용을 허가하지 않겠다"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메타는 이날 중국을 의식한 듯 "우리는 미국의 오픈소스 AI 모델이 중국 등 다른 국가의 모델을 능가하고 더 큰 성공을 거두는 것이 미국과 민주주의 세계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믿는다"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메타가 라마의 공공 부문 시장 점유율을 높여 AI 표준으로 자리매김하려는 의도도 있다고 보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지난달 3분기 실적 발표에서 "미국 정부 전반에 걸쳐 공공 부문에서 라마를 채택하도록 노력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라마를 핵심 AI 모델로 사용할 경우 파급 효과가 더 클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크레그 사장은 "차세대 디지털 인프라가 민주적 가치와 안전장치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