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현 삼성리서치 글로벌AI센터장 (사진=삼성전자)
김대현 삼성리서치 글로벌AI센터장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개발의 핵심 방향으로 개인화와 하이브리드, 보안 등을 꼽았다.

김대현 삼성리서치 글로벌AI센터장은 6일 뉴스룸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인공지능(AI)이 바꾸는 새로운 미래’라는 제목의 칼럼을 게재했다.

김 센터장은 "사용자의 요구 수준을 충족하는 생성 AI, 개인화 경험과 사용성을 강화하는 운영 기술,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보안 기술 등을 고도화한다"라고 밝혔다.

먼저 데이터 분석을 넘어 사용자 요구에 따라 독창적 결과를 도출하는 생성 AI를 연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개인화 AI를 위해 지식 그래프 기술을 개발하고 생성 AI와 유기적으로 연결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하이브리드 AI도 강조했다. 이는 온디바이스 AI와 클라우드 AI를 함께 사용해 속도와 안전성을 균형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이다.

기기 안에서 동작하는 빠른 반응 속도와 강력한 개인정보 보호가 장점인 온디바이스 AI, 방대한 데이터와 고성능 컴퓨팅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AI를 활용하면 여러 환경과 조건에서도 최적의 AI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AI 개발에 있어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을 최우선으로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서로 연결된 기기들을 통합적으로 보호하는 보안 솔루션 ‘녹스 매트릭스’를 개발한 바 있다. 모바일과 TV에 이어 앞으로 가전 제품에도 확대 적용해 소비자들이 여러 기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지원할 예정이다.

김대현 센터장은 “AI는 삶의 질을 높이고 사용자에게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며 “이러한 변화를 앞당길 수 있도록 혁신을 선도하고 다방면의 협력을 지속하겠다”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