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은 최근 도쿄 국제 포럼에서 열린 ‘시그래프 아시아 2024’의 하이라이트 '리얼타임 라이브'에서 배석형 산업디자인학과 교수팀이 황보제민 기계공학과 교수팀과 협업해 개발한 ‘로봇스케치’ 기술이 최우수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고 9일 밝혔다.
‘시그래프 리얼타임 라이브’에서는 매년 전 세계에서 엄선된 10여개 혁신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모든 시연은 사전 녹화 없이 실시간으로 진행, 6분이라는 제한 시간 안에 기술의 독창성과 가능성을 선보여야 한다.
이준협 KAIST 산업디자인학과 박사는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쓴 상태로 단 몇분 만에 입체 형태 및 복잡한 관절 구조를 가진 4족 거미 로봇을 그려냈다. 태블릿과 펜을 이용해 아무 것도 없는 가상 공간 속에 완성한 것이다.
이어 컨트롤러를 조작하자 움직이던 거미 로봇이 일어나 2족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자세를 수정, 두발을 짚고 걸음을 내딛기 시작했다.
로봇스케치는 단순히 외형과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설계 도구를 넘어, 3D 스케칭에 생성 인공지능(AI)과 몰입형 VR을 접목해 로봇 디자인 개념을 새롭게 정의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디자이너는 VR 환경에서 태블릿과 펜을 사용해 복잡한 관절형 구조를 직관적으로 표현, 이를 실제 크기로 확인할 수 있다. 디자이너가 그린 로봇은 강화학습을 거쳐 현실 세계의 물리 법칙을 따르는 시뮬레이션 속에서 보행법과 움직임을 학습하는 방식이다.
결과적으로 실제 작동 가능한 로봇을 가상현실 속에서 직접 움직이며 동작의 자연스러움과 안정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배석형 KAIST 산업디자인학과 교수는 “기존 로봇 디자인의 한계를 극복하고, 로봇 디자이너가 상상하는 모든 것을 실시간으로 표현할 수 있는 도구를 만들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는 ‘DRB-KAIST 스케치더퓨처 연구센터’의 지원 아래 이루어진 결과로물이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