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산 태양광 부품에 대해 추가로 관세를 인상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11일(현지시간) 내년 1월부터 중국에 대한 태양광 웨이퍼, 폴리실리콘 등의 자제 관세를 최대 50%까지 인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자국 태양광 산업 보호 및 에너지 안보를 위해서 2012년부터 꾸준히 중국산 태양광 부품에 대한 관세를 매겨왔다.

이번에 인상되는 품목은 ▲태양광 웨이퍼(50%) ▲폴리실리콘(50%) ▲텅스텐(25%)으로 미국내 중국산 태양광을 사용하는 업체에 타격이 있을 전망이다.

미국은 2022년부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자국 태양광 제조를 강화하고 중국산 제품에 대한 의존을 낮추려는 정책을 고수해 왔다. 이에 중국은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 공장을 설립하며 관세를 회피했고, 미국이 뒤이어 추가로 관세를 확장하는 등 쫓고 쫓기는 게임을 반복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 업게는 환영의 뜻을 밝혔다. 또 캐서린 타이 대사는 “이번에 발표한 관세 인상은 중국의 해로운 정책과 관행의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며 “정부의 조치는 재생 에너지 촉진을 위한 미국 내 투자와 공급망에 지대한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현재 전 세계 태양광 모듈의 80%를 공급하는 등 시장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어 보호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인도는 지난달 중국산 태양광이 자국 산업을 위협하고 있다며 태양광 유리에 대해 반덤핑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

미국 태양광산업협회(SEIA)는 다가올 트럼프 정부에 대비해 미국 태양광 산업 성장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통해 중국산 태양광 의존 감소와 미국 내 제조업 성장 촉진 등이 실린 7건의 의제를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더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중국 태양광 업계는 내려가는 태양광 모듈 가격 문제를 지적하며 가격 경쟁을 자제하고 업체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재승 기자 energy@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