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미국 국방부가 중국 게임업체 텐센트와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업체 CATL을 포함한 다수의 중국 기업을 중국군 지원 기업 블랙리스트에 추가했다. 이 블랙리스트는 직접적인 제재 조치를 동반하지는 않지만, 기업 평판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 미국 내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로이터는 6일(현지시간) 미국 국방부가 새롭게 업데이트한 중국군 지원 기업 블랙리스트를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목록에는 텐센트와 CATL 외에도 중국 최대 메모리반도체 제조사 창신 메모리, 드론 제조업체 오텔 로보틱스, 인터넷 모듈 제조사 퀙텔, 국유 해운사 COSCO 등이 추가됐다.

반면, 인공지능(AI) 기반 물류 자동화 회사 메그비 테크놀로지와 차이나텔레콤 등 6개 기업은 이번 명단에서 제외됐다. 현재 블랙리스트에는 총 134개 기업이 포함돼 있으며, 이는 2021년 제정된 국방수권법(NDAA)의 '1260H' 조항에 따라 매년 갱신된다.

미국 정부는 중국의 민군 융합 전략을 통해 첨단 기술과 전문성이 중국군 현대화에 활용되고 있다고 판단,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목록을 관리하고 있다. 블랙리스트에 포함되더라도 즉각적인 수출 통제나 제재가 적용되지는 않지만, 미국 기업들에게 해당 기업과의 거래 위험성을 경고하는 신호로 작용하며 재무부의 추가 제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텐센트와 CATL은 이번 결정에 대해 강력히 반발했다. 텐센트는 성명을 통해 “이번 블랙리스트에 텐센트가 포함된 것은 명백한 실수”라며 “우리는 군사 기업도, 군수 공급 업체도 아니며, 명단 포함이 사업에 미치는 영향은 없겠지만 국방부와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CATL 역시 “회사는 군사 관련 활동에 전혀 관여한 바 없다”며, “블랙리스트 포함은 명백한 오류”라고 주장했다.

중국 정부도 곧바로 반발했다. 중국 외교부는 7일 브리핑에서 "미국은 국가 안보를 내세워 중국 기업을 억지스럽게 탄압해 왔다"라며 "미국이 잘못된 처사를 바로잡고 중국 기업에 대한 불법적인 제재를 해제할 것을 촉구한다"라고 밝혔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