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프리픽)
(사진=프리픽)

에너지 컨설팅 기업 우드맥켄지는 11일(현지시간) 미국이 중국에 이어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육상풍력발전 비용이 약 7%가량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미국 육상풍력발전 산업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지난 4일부터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12일부터는 모든 철강,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로 인해 육상풍력벌전소 설치에 필요한 비용이 약 7%, 프로젝트 비용은 5% 증가할 예정이다.

특히 풍력발전에 필요한 주요 부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관세가 적용되면, 터빈은 10%가량 비용이 증가해 산업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된다.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는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자본 지출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프로젝트 진행에 차질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조치는 영향이 미미했던 1기 행정부와 다르게 점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게 전문가 분석이다.

엔드리 리코 우드멕켄지 수석 연구원은 “업계는 현재 상황이 안정되기를 기다리면 대안을 모색하는 중”이라며 “관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공급망을 재구성하고, 자국 생산 등 지역 역량 강화, 가격 인상 등을 통한 대응 방안을 취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은 지난해 10월 기준 약 152GW 용량의 풍력발전을 설치했으며, 전체 전력 생산의 12%를 차지하는 등 풍력발전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해 왔다. 풍력 터빈 기술 또한 발전돼 2023년에는 메가와트시(MWh)당 26달러(약 3만7000원)를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 정부 지원에도 불구하고 비용 증가로 인한 투자 부진이 지속되는 등 업계 현황은 녹록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승 기자 energy@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