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트라플렉스 실물 사진 (사진=텔레픽스)
테트라플렉스 실물 사진 (사진=텔레픽스)

위성 솔루션 전문 텔레픽스(TelePIX, 대표 조성익)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2024년 초소형 위성 기술 현황 보고서’에 이름을 올렸다고 19일 밝혔다.

'초소형 위성 기술 현황 보고서(State-of-the-Art of Small Spacecraft Technology)'는 지난 한해 동안 전 세계에서 이뤄진 소형 위성 기술 동향을 수집한 결과다. NASA에서 매년 발간하고 있다.

전 세계 우주 기관과 기업들이 참고하는 대표적인 기술 동향 자료로, 소개 기술은 혁신성과 신뢰성을 공식적으로 인정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설명이다.

보고서에 등재된 기술은 텔레픽스의 인공지능(AI) 프로세서 '테트라플렉스(TetraPLEX)'다. 초소형 위성 항공전자 부문에서 인공위성 및 우주 탐사선에 탑재되는 고성능 온보드 컴퓨팅 시스템 중 하나로 소개됐다.

테트라플렉스는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활용한 위성용 AI 온보드 프로세서다. 엔비디아의 최신 AI 컴퓨팅 플랫폼인 '젯슨 오린 엔엑스(Jetson Orin NX)'를 적용한 최초의 우주 실증 사례로, NASA 보고서에 언급된 제품 중 유일하다.

우주 환경에서 AI 엣지 컴퓨팅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 인정 받은 것이라는 설명이다.

테트라플렉스는 지난해 8월 우주로 성공적으로 발사돼 궤도 내 성능 테스트까지 완료한 상태다. 방사선, 진공 등 극한의 우주 환경에서도 위성 이미지 전처리 알고리즘이 원활히 작동해 위성 이미지 전처리를 11초 만에 완료할 수 있다고 전했다.

조성익 텔레픽스 대표는 “테트라플렉스는 제한된 지상국 인프라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했던 위성 데이터 처리 방식을 바꾸는 혁신적인 기술”이라며 “이번 나사 보고서 등재는 텔레픽스가 개발한 우주용 컴퓨팅 시스템이 세계적으로 인정 받고 실제 위성에서 운용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