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중국 대표 기술 기업 텐센트와 바이두가 미국의 인공지능(AI) 칩 수출 제한 강화 속에서도 글로벌 AI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한 방법을 공개했다. 

CNBC는 26일(현지시간) 텐센트와 바이두가 최근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미국의 AI 칩 수출 규제를 극복하기 위해 ▲칩 비축 ▲AI 모델의 효율성 향상 ▲국산 반도체의 적극적 활용 등의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은 지난 4월 엔비디아, AMD 등 주요 기업이 생산하는 고성능 AI용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추가로 제한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바이든 행정부가 도입했던 일부 규제를 철회했지만, 전반적인 규제 강화 기조는 유지되고 있다.

이에 대해 마틴 라우 텐센트 사장은 “우리는 과거에 구매한 GPU를 상당량 비축해 둔 상태”라며 “이 칩들로 몇 세대에 걸친 AI 모델 훈련을 충분히 이어갈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 기업과 달리, GPU 클러스터를 대규모로 확장하지 않고도 고효율 훈련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추론 단계에서는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통해 같은 수의 GPU로도 더 많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컴퓨팅 자원을 덜 요구하는 경량 모델 개발과 중국 내에서 사용 가능한 맞춤형 칩 활용도 모색 중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GPU를 무조건 사들이는 대신, 소프트웨어 영역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다양한 가능성을 계속 탐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두는 ‘풀스택(full-stack)’ AI 역량을 강조했다. 클라우드 인프라부터 AI 모델, '어니' 챗봇과 같은 응용 서비스까지 통합 운영함으로써, 엔비디아의 첨단 칩이 없이도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션 도우 바이두 AI 클라우드 사업부 총괄은 “고급 칩에 접근하지 못하더라도 풀스택 기술력 덕분에 강력한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바이두도 GPU 사용 효율을 극대화하고, 기술 자산을 활용해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중국 반도체 기술이 발전, “국산 AI 칩과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스택이 결합되면 중국의 AI 생태계가 장기적인 혁신 기반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수년 전부터 반도체 국산화를 위해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미국과 격차는 크지만, 기술 수준이 점차 향상되고 있다는 평가다.

가우라브 굽타 가트너 반도체 애널리스트는 “중국은 자국 내 칩 생산 생태계를 꾸준히 발전시키고 있으며, 이는 수출 규제를 우회할 하나의 방안”이라며 “아직 미국 수준에는 못 미치지만, 상당한 성과를 이뤘다”라고 설명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