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형 태양광'이 농업과 에너지, 기후 문제 등을 동시에 해결할 실현 가능한 정책 대안으로 주목받았다.
신재생에너지 전문 파루(PARU)의 송금석 연구소장은 24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에너지전략포럼'을 통해 국내외 영농형 태양광 설치 현황과 정책 방향 등을 소개했다.
송 소장은 영농형 태양광이 고령화와 도시와의 소득 격차에 시달리는 농촌을 회복하고 기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현실적 해법이라고 밝혔다.
영농형 태양광은 농지 위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고, 그 아래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이다. 하부 작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광포화점을 초과하는 나머지 태양광을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이모작 구조로, 농촌의 소득을 높이면서도 농지를 보존할 수 있다.
작동 방식에 따라 고정식과 추적식으로 나뉘며, 특히 태양 움직임을 따라 패널 각도를 조절하는 추적식 시스템은 발전효율을 극대화하며 작물 생육에도 도움을 준다.
지금까지 전남, 전북, 경기 등지에서 벼, 콩, 보리, 들깨 등 다양한 작물을 대상으로 실증연구가 진행됐으며, 독일,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서도 포도, 밀, 감자 등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작물 재배와 소득이 늘었다는 해외 논문도 계속 등장하고 있다.
송 소장 역시 "실증연구를 통해 수확량과 품질 모두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한 결과를 확인했다"라고 강조했다.
정책과 관련해서는 "지자체는 지역 특성에 맞는 시범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주민 참여 모델을 확대해야 실효성 있는 보급이 가능하다"라고 전했다. 또 "중앙정부와 협력해 각 지역 실정에 맞는 제도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농림부도 이런 추세에 맞춰 영농형 태양광 '일시사용허가 기간'을 기존 8년에서 20년으로 확대하는 농지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공익직불금 적용 확대, 지속적인 사후관리, 가이드라인 마련 등도 검토 중이다.
한편, 'AI시대, 에너지 고속도로가 패권 좌우한다'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에너지포럼은 서울경제 주최, 한국에너지공단 주관으로 열렸다.
이재승 기자 energy@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