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메타)
(사진=메타)

첨단 인공지능(AI) 모델을 각 분야에 적용하려는 오픈AI의 사업화가 본격화하고 있다. 오픈AI의 사업 부문을 이끌 피지 시모 애플리케이션 CEO의 발언에 이어, 샘 알트먼 CEO도 정부를 대상으로 이런 방침을 밝힐 예정으로 알려졌다.

피지 시모 CEO는 21일(현지시간) X(트위터)를 통해 8월18일부터 오픈AI에 공식 합류한다고 밝혔다. 또 같은 날 홈페이지를 통해 AI를 소수의 상류층이 아닌, 모든 사람에게 배포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그는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기회와 번영을 가져다주는 방식으로 AI 기술을 개발하고 공유해야 한다”라며 “오늘 우리가 내리는 선택은 다가올 변화가 모두에게 더 큰 권한 부여로 이어질지, 아니면 소수에게 더 큰 부와 권력 집중으로 이어질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지식 ▲건강 ▲창의적 표현 ▲경제적 자유 ▲시간 절약 ▲개인 맞춤형 지원 등 여섯 분야에서 AI가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구체적인 제품 로드맵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발언은 최근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전 세계 모든 사람에게 개인용 초지능을 제공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라며 “우리는 다른 곳과 목표가 다르다”라고 말한 것과 같은 의도다.

즉, AI 기술을 일반 소비자를 위한 상업적 용도로 적극 확대하겠다는 말이다.

메타와 오픈AI는 결국 같은 방침으로 보인다. 메타는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스마트 안경 등을 통해, 오픈AI는 챗GPT나 AI 하드웨어를 통해 소비자용 AI 기술을 배포하겠다는 내용이다. 특히, 오픈AI가 이를 위해 영입한 시모 CEO는 과거 페이스북의 수익 전략을 만든 인물로 유명하다.

한편, 악시오스는 이날 알트먼 CEO가 이번 주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 참석, AI가 이미 미국인의 생산성을 높이고 있으며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의 손에 AI를 넘겨 AI를 민주적으로 유지하겠다고 약속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오픈AI는 그동안 '인류를 위한 AI를 개발하겠다'라는 사명에 이어, 이제는 '모든 사람에게 AI를 공급하겠다'라는 식으로 모토를 확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재 추진 중인 공익 기업 구조 변경과 앞으로 추진할 기업공개(IPO)와도 무관하지 않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