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MIT ‘인간중심 피지컬 AI 상호작용 연구센터’ 개요도 (사진=GIST)
GIST-MIT ‘인간중심 피지컬 AI 상호작용 연구센터’ 개요도 (사진=G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AI융합학과 김승준 교수 연구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해외우수연구기관 협력허브 구축사업’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19일(화) 밝혔다.

GIST와 MIT는 ‘인간중심 AI’ 구현을 목표로, 실감 상호작용·포용성·이해 가능성을 갖춘 피지컬 AI 기술을 개발한다.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술과 확장현실(XR) 활용 기술을 공동으로 연구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2021년부터 2025년 간 진행된 ‘GIST-MIT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축적해 온 MIT와의 협력 경험과 참여기관의 전문성을 결합해 원천기술 개발부터 실용화까지 전 주기 연구를 수행한다. 인력 교류를 강화해 국제 연구협력 허브 역할도 확대할 계획이다.

GIST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선정됐으며, 2030년까지 총 77억원을 지원받아 ‘GIST-MIT 인간중심 피지컬(Physical) AI 상호작용 연구센터’를 설립·운영할 계획이다. 해외 연구책임자로 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CSAIL) 소장 다니엘라 루스 교수가 참여한다.

루스 교수는 로봇공학 권위자로, 국내에서도 '천재 로봇공학자 다니엘라 루스의 MIT 로봇 수업'이 번역·소개되면서 국내에도 알려졌다. 

연구책임자 GIST 김승준 교수(오른쪽부터), 김경중 교수, 홍진혁 교수, 해외연구책임자 MIT 다니엘라 루스 교수(좌측 상단)(사진=GIST)
연구책임자 GIST 김승준 교수(오른쪽부터), 김경중 교수, 홍진혁 교수, 해외연구책임자 MIT 다니엘라 루스 교수(좌측 상단)(사진=GIST)

연구책임자인 김승준 교수는 HCI·XR·AI 융합연구 전문가다. 또 ▲홍진혁 교수(GIST, 로봇·접근성) ▲김경중 교수(GIST, 강화학습·촉각 로봇) ▲송영민 교수(한국과학기술원(KAIST), 광전자·피지컬 AI 센서) ▲이경택 본부장(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엣지 컴퓨팅·실감 미디어) 등 전문가들이 포함됐다.

김승준 교수는 “지난 5년간 GIST–MIT 공동연구를 통해 쌓아 온 국제협력 네트워크와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성과를 창출하겠다”라며 “연구 인력 간 활발한 교류를 통해 차세대 글로벌 AI 인재 양성에도 앞장서겠라고 말했다. 

한편, GIST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MIT CSAIL과의 공동연구 확대, 북미·유럽·아시아 주요 대학과의 다자간 HCI+AI 연구협력 네트워크 구축, 대학 간 양방향 인력 교류, 피지컬 AI 분야 국제 워크숍 개최,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 실용화 가속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