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나락스가 범용 인공지능(AI) 모델이 진입하지 못하는 산업 특화 지식과 '버티컬 AI'로 AI 에이전트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 AI 전문 마키나락스(대표 윤성호)는 4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AI 컨퍼런스 ‘어텐션 2025(ATTENTION 2025)’를 개최했다. 산업별 AI 에이전트 사례와 에이전틱 AI(Agentic AI) 시대를 위한 로드맵을 제시한 행사다.
윤성호 대표는 “챗GPT 등 범용 AI는 대화나 텍스트 생성에는 강하지만, 센서 데이터 해석이나 도면 판독처럼 정밀도가 필요한 산업의 과업에는 한계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현장의 맥락과 전문성을 반영한 도메인 특화 기술이 산업 AI 혁신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또 “제조나 국방, 중공업 등은 AI를 통해 100배 생산성 향상의 잠재력을 가진 산업"이라며 "이제 대기업은 물론 중소·중견 기업도 수백, 수천개의 AI 에이전트를 직접 만들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에이전틱 AI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임우형 LG AI 연구원장의 기조연설에 이어 주요 AI 기업 리더들의 패널 토론이 이어졌다. 음병찬 디스펙터 대표가 좌장을 맡아 정영범 퓨리오사AI 상무, 이활석 업스테이지 CTO, 허영신 마키나락스 CBO, 이강욱 리얼월드 CBO가 패널토론에 참여했다.
정영범 퓨리오사AI 상무는 "AI에이전트 확산의 가장 큰 장애물은 추론 비용"이라며 "AI 모델의 구조를 보고 그에 최적화된 추론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활석 업스테이지 CTO는 "일본 시장을 타깃으로 OCR과 비전언어모델(VLM)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강욱 리얼월드 CBO는 현장에서 숙련자의 작업 과정을 분석하고 로봇에 학습하는 접근법을 강조했다.
한편, 행사장에서는 마키나락스의 대표 제품 ‘런웨이(MakinaRocks Runway)’의 신기능 ‘앱 스튜디오(App Studio)’가 공개됐다. 이는 AI 앱을 제작·실험할 수 있는 기능이다.
박수빈 기자 sbin08@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