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의 에너지 대전환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 발표와 법적 근거 마련이 병행되면서 해상풍력·태양광 중심의 재생에너지 산업과 함께 석유화학·철강 산업의 구조 전환이 동시에 추진 중이다.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원회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에는 전남 지역을 대상으로 한 7대 공약과 15개 추진 과제가 포함됐다.
주요 공약은 ▲공공의대 설립을 통한 공공의료 강화 ▲여수석유화학산업 대전환 ▲신재생에너지 허브 구축 ▲첨단전략산업 클러스터 조성 ▲동북아 관문공항 육성 ▲농수축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남해안 해양·관광·문화 허브화 등이다.
세부 과제에는 여수·광양산단의 친환경·고부가가치 산업 전환, 해상풍력·태양광 기반 신산업 육성, 주민참여형 '햇빛·바람연금' 확산, RE100 산단 조성 등이 담겼다.
RE100 산단과 AI 에너지 클러스터
이 가운데 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이 가장 앞서가고 있다. 대통령실은 전남권을 RE100 산업단지로 지정하고 차세대 전력망 혁신기지로 육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법적 근거를 마련 중이며, 전력망 구축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해남 솔라시도 기업도시에 추진 중인 AI 에너지 클러스터가 주목된다. 현재 98㎿ 규모 태양광 단지가 가동 중이며, 2030년까지 5.6GW로 확대될 예정이다.
또한 신안 해상풍력 집적화단지와 연계해 전국 최대 규모 재생에너지 거점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전남도는 이를 기반으로 앵커기업 유치와 AI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에너지 자립형 글로벌 미니신도시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확산과 함께 전력망 구축,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남에서는 100㎿ 규모 해상풍력이 상용 운전 중이며, 정부 정책 기조상 연도별 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될 것이라는 게 전남도의 전망이다.
전통 산업의 체질 개선도 본격화되고 있다. 무탄소 연료 기반 NCC 공정기술 개발이 올해 사업으로 선정됐으며, 고분자 공중합체 제조기술과 선상용 이산화탄소 포집·실증 사업도 내년 국비 예산에 반영됐다.
여수시는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으로 지정돼 국비 지원을 받게 됐고, 철강산업 중심지인 광양시도 같은 지정을 추진 중이다.
전남도는 제도 개혁과 규제 특례 적용을 통해 산업구조 대전환을 뒷받침할 방침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국정과제로 반영된 사업들이 속도를 내고 있다"며 "지역 공약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 정부 조직개편안, 재생에너지 정책 변화 전망
- 해남, RE100(재생에너지) 글로벌 허브로 도약
- 전남도, 2026년 AI 기반 신규시책 200건 발굴
- 전남도, AI·SW 코딩 로봇경진대회 참가자 모집
- 재생에너지로 농가소득 키운다…전남, 영농형 태양광 확산 신호탄
- 제6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수립 본격 추진
- AI 중심으로 무인 국방체계 혁신 나선다
- "에너지절약도 AI로"…대한상의, 아이디어 공모전
- 국내 재생에너지 전환, 새만금과 전남이 함께 여는 길
- 한국 재생에너지, 전환의 길 ③농촌을 살리는 태양, 영농형태양광
- 전남도, 에너지 혁신 선도 모델로…100일 작전 돌입
- 남해안 3개 광역시도, 공동발전 전략 본격 시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