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도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목표로 2026년 신규시책 200건을 확정했다.

전남도가 신규시책으로 국내최초 자체 초소형 위성(SAT) 개발에 나선다. (사진=전남도)
전남도가 신규시책으로 국내최초 자체 초소형 위성(SAT) 개발에 나선다. (사진=전남도)

총사업비는 1조 612억 원 규모로, 국비 5,136억 원·도비 2,125억 원·기타 재원 3,351억 원이 투입된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분야는 생활밀착 복지·안전으로 104건이 포함됐다.

주거·교통·보건·환경·교육 등 도민 일상 전반을 아우르며, 독서문화 확산과 같은 생활밀착형 사업도 추진된다.

이는 대규모 SOC 중심이 아닌, 생활 속 불편을 해소해 체감형 복지를 강화하겠다는 방향성이 뚜렷하다.

다만 세부사업들이 얼마나 신속히 현장에 적용될 수 있을지가 성패를 가를 전망이다.

지역경제와 고용기반 강화 분야에서는 39건의 과제가 추진된다. 청년, 여성, 중장년층, 외국인까지 포용하는 일자리 정책을 마련하고 창업 지원, 고용 안정, 인력 양성에 집중한다.

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일자리 창출은 필수적이지만, 기존 중앙정부 사업과의 중복을 피하고 현장 산업계와 연계성을 높여야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과제가 남는다.

미래대응 전략산업, 글로벌 경쟁력 겨냥

미래대응 전략산업은 총 57건으로, 인공지능(AI), 우주, 청정에너지, 해양물류, 디지털 전환 등 신산업 육성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는 전남이 가진 재생에너지·해양 물류 인프라를 활용해 첨단산업 기반을 강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특히 국가 정책 기조인 신재생에너지 확대, 북극항로 개설 등과 연계해 중앙정부 협력 가능성을 높인 점이 강점이다.

다만 대규모 재원이 필요한 분야인 만큼 안정적인 국비 확보가 관건이다. 전남도의 이번 시책은 '체감형 행복'과 '미래형 성장'이라는 두 가지 축으로 요약된다. 

생활 속 작은 변화를 통해 안전·복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전략산업을 선제적으로 육성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접근이다.

다만, 도민이 실제로 변화를 체감하기 위해서는 ▲예산 집행 속도 ▲중앙정부와의 정책 공조 ▲지역 현장 수요 반영이 뒷받침돼야 한다. 

성과 관리 체계를 마련해 단발성 사업에 그치지 않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과제로 꼽힌다.

윤진호 전남도 기획조정실장은 "신재생에너지, 북극항로 등 국가정책과 발맞춰 추진되는 만큼 예산 확보와 중앙정부 협의를 체계화해 도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지속해서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