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국의 재생에너지 전환 속도가 예상보다 훨씬 빠르다. 비용 경쟁력이 정책 장벽을 뛰어넘으면서, 에너지 시장의 주도권은 이미 '석탄에서 풍력·태양광'으로 넘어가고 있다. 

영농형 태양광 (사진=파루솔라)
영농형 태양광 (사진=파루솔라)

미국은 지난 6월 전체 전력의 4분의 1을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며 사상 최대 기록을 세웠다. 

트럼프 행정부가 보조금 축소를 예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정에너지는 이미 "가장 저렴하고 빠른 발전원"으로 자리 잡았다. 

텍사스·캘리포니아 등 주요 주(州)는 풍력·태양광 설비와 배터리 저장 분야에서 연일 신기록을 세우고 있다.

유럽연합(EU)도 2040년까지 1990년 대비 온실가스 90% 감축이라는 야심찬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국제 탄소크레딧을 어떤 범위까지 허용할지를 두고 치열한 협상이 진행 중이다. 

CBAM(탄소국경조정제도)와 함께, 이는 앞으로 유럽으로 수출하는 한국 기업들의 비용 구조를 좌우할 변수다.

중국은 태양광·배터리·전기차 기업을 앞세워 글로벌 공급망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22년 이후 해외에만 2,100억 달러(약 290조 원) 이상 투자했으며, CATL·BYD 등은 동남아·북아프리카·미국 등지에서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한국에 미칠 파장은 크다.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국내 산업계는 여전히 석탄·LNG 중심의 발전 의존도가 높다. 

전력망·저장시설 투자 지연, 인허가 병목, 주민 수용성 문제까지 겹쳐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은 불투명하다. 글로벌 흐름을 따라잡기 위해선 제도적 개혁과 산업적 투자가 동시에 필요하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