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공익 기업(PBC) 전환이 여의치 않을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 캘리포니아주를 떠나는 방안까지 논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오픈AI는 이를 부인했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9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 오픈AI 임원진이 캘리포니아주의 정치적 압박이 심해지며 공익 기업 전환이 좌절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자, 주를 떠나는 최후의 선택지를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오픈AI는 지난해 말 구조 개편 계획을 발표할 당시에는 지역의 각종 단체로부터 강한 반발이 일어날 것을 예상하지 못했다.
그러나 현재 캘리포니아 최대 규모의 자선단체와 비영리단체, 노동단체들이 구조 변경 계획을 반대하고 있다. 또 일론 머스크 CEO는 이를 막아 달라며 소송을 낸 상태다.
이에 따라 캘리포니아와 델라웨어주 검찰 총장도 최근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 캘리포니아에는 오픈AI 본사가 있으며, 델라웨어는 법인 등록지다. 따라서 이들은 구조 개편안을 검토하고 승인할 권한이 있다.
이번 보도에 대해 오픈AI는 "회사는 캘리포니아를 떠날 계획이 없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구조 변경에 실패하면 오픈AI는 치명타를 맞게 된다. 공익 기업 변경을 조건으로 190억달러(약 26조35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는데, 실패하면 자금 회수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또 공익 기업 전환 후 기업공개(IPO)를 통해 막대한 자본을 유치하려는 계획에 큰 차질을 빚는다. 오픈AI는 현재 대규모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를 비롯해, 매년 천문학적인 비용을 지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체 AI 칩 개발, 하드웨어 개발 등 대규모 자본이 필요한 프로젝트가 동시에 다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오픈AI는 주 정부의 지지를 얻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해 왔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와 가까운 라폰자 버틀러 전 연방 상원의원을 포함한 자문위원들을 고용했으며, 시민 단체들의 의견 수렴을 위한 회의도 열었다. 최근에는 비영리 및 지역사회 단체 지원을 위해 5000만달러(약 700억원) 기금을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이 지역 최대 노동조합인 캘리포니아노조연맹의 로레나 곤살레스 회장은 주 법무장관실과 1년 넘게 오픈AI의 구조 변경 저지를 논의해 왔다고 밝혔다.
곤살레스 회장은 "그들은 비영리 지위로 혜택을 받았고 그 결과 막대한 수익을 창출할 것이기 때문에, 이익은 사회에 환원되는 것이 당연하다는 입장을 밝혔다"라고 말했다.
여기에 지난주에는 캘리포니아주 법무장관과 델라웨어주 법무장관이 오픈AI에 공식 서한을 보내 챗GPT가 아동과 청소년에게 미칠 위험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특히 이 문제가 오픈AI의 공익 기업 구조 개편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시사해 눈길을 끌었다. 이들은 “구조 조정 과정에서 공익적 사명, 특히 아동을 포함한 인류 전체에 이로운 인공일반지능(AGI) 개발이라는 목표는 훼손되지 않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