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주요 결제 및 기술 기업들과 협력, 인공지능(AI) 에이전트가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개방형 프로토콜을 공개했다. 에이전트 간 통신 프로토콜인 'A2A'에 이어, 주요 에이전트 기준을 잇달아 선보인 것이다.

구글은 16일(현지시간) AI 에이전트 결제 표준화를 목표로 한 개방형 프로토콜 ‘AP2(Agent Payments Protocol)’를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마스터카드,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페이팔, 코인베이스 등 60여 개 주요 금융사·결제업체·온라인 마켓 등이 참여하는 등 초기부터 광범위한 생태계 지지를 확보했다.

AP2는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아도 AI 에이전트가 사용자를 대신해 상품 결제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구글은 “자전거 여행을 준비해 달라”는 요청을 예로 들며, 사용자의 에이전트가 여행사·숙박업체·소매점 에이전트와 동시에 상호작용해 예산과 일정에 맞는 항공권·호텔·장비 패키지를 실시간으로 예약하는 시나리오를 선보였다.

현재 AI 에이전트는 항공편 검색이나 가격 비교까지는 가능하지만, 실제 결제 단계에서는 사용자 승인이 필요하다. AP2는 이를 '의도 위임(Intent Mandate)'과 '장바구니 위임(Cart Mandate)'이라는 두단계의 디지털 서명을 통해 보완한다. 사용자가 구매 의도를 명확히 입력하면, 에이전트가 탐색과 협상을 진행하고 최종 항목이 확정되면 결제 승인을 요청받는 구조다.

또 사용자가 가격 한도와 시간 등 조건을 구체적으로 설정하면, 에이전트가 완전 자동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모든 과정은 암호화된 서명을 통해 기록, 사후 조회와 문제 발생 시 책임 규명이 가능하다.

구글은 코인베이스 등과 협력, AP2에 암호화폐 전용 확장 규격 ‘x402’도 추가했다. 

구글은 AP2의 전체 기술 사양을 깃허브에 공개했으며, 누구나 참여 가능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는 구글의 A2A(Agent2Agent) 프로젝트와 앤트로픽의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 등 기존 이니셔티브의 연장선이다.

업계에서는 AP2의 핵심 가치를 인증(Authorization)과 진위성(Authenticity), 책임(Accountability) 등으로 보고 있다. 거래가 실제 사용자 의도에 따른 것임을 보장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책임 소재를 명확히 규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AP2는 아직 소비자 대상 서비스에는 적용되지 않았으며, 현재는 개발자와 기업이 테스트 중이다.

그러나 이미 주요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와 대형 온라인 유통업체가 참여하면서, 구글이 표준화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크다는 평이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