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탈탄소 녹색문명 전환 비전을 이행하기 위해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0월 1일자로 출범했다.

새롭게 출범하는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정책 총괄 기능과 탄소중립의 핵심 이행 수단인 에너지 기능을 통합한 부처다. 2차관, 4실, 4국·14관, 63과로 편제한다. 

지난달 30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1일 공포 후 즉시 시행된다. 온실가스 감축, 재생에너지 확대, 환경질 개선, 기후재난 대응 등 기후·에너지·환경정책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조직 체계로 구성됐다.

1차관 소속으로 기획조정실, 물관리정책실과 자연보전국, 대기환경국, 자원순환국, 환경보건국을 편제해 ▲하천 자연성 및 생태계의 회복 ▲미세먼지 저감 ▲순환경제 구축 ▲화학물질 안전 등 새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핵심 환경정책의 차질 없는 추진과 국민 체감형 환경 서비스를 확대해 나간다.

2차관 소속으로는 기후에너지정책실과 에너지전환정책실을 편제해 기후정책과 에너지정책의 융합을 통한 동반상승 효과를 극대화하고, 에너지 전환을 위한 재생에너지의 획기적 확대,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탄소중립 산업 육성 등의 이행을 가속한다.

기후에너지정책실에는 기후에너지정책관, 녹색전환정책관, 수소열산업정책관, 국제협력관, 에너지전환정책실에 전력산업정책관, 전력망정책관, 재생에너지정책관, 원전산업정책관을 편제한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인류 생존을 위협하는 기후 위기에 맞서 녹색 대전환을 이끄는 부처로서 대한민국이 탈탄소 녹색문명 선도 국가로 부상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규제와 진흥의 이분법적 틀을 넘어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에너지 고속도로를 조기에 건설하여 탄소중립 녹색산업이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