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조직 개편으로 새롭게 출범하는 기후에너지환경부의 공식 약칭이 '기후부'로 정해졌다. 영어 명칭은 MCEE(Ministry of Climate, Energy and Environment)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23일 서울 서초구 한국전력 양재 아트센터에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설정을 위한 2035 NDC 대국민 공개논의 전력분야 토론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환경부)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23일 서울 서초구 한국전력 양재 아트센터에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설정을 위한 2035 NDC 대국민 공개논의 전력분야 토론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환경부)

환경부는 최근 행정안전부에 이 같은 약칭과 영문 명칭을 제출했으며, 이는 '정부조직 약칭과 영어 명칭에 관한 규칙'에 따라 관리된다. 

원칙적으로 부처 약칭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세 음절로 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번 결정은 기후 변화를 부처의 핵심 정체성으로 내세우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기후 강조, 환경·에너지 뒷전될까

그러나 일각에서는 환경과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과거 고용노동부가 약칭을 '고용부'로 정하면서 고용 정책 중심으로 해석됐던 사례가 대표적이다. 

실제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최근 간담회에서 "차라리 '에너지부'라고 불렸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환경부는 이번 결정이 특정 분야를 배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기후에너지부라고 하면 환경이, 기후환경부라고 하면 에너지가 아쉬운 상황이 된다"며 "부처 출범 취지와 시대적 흐름을 고려했을 때 기후부가 가장 적합하다는 판단이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국제사회와의 협력에서도 '기후'라는 명칭이 직관적으로 부처 성격을 알리는 데 유리하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알려졌다.

'기후부'라는 이름은 단순한 호칭을 넘어, 앞으로 부처가 어떤 정책 방향을 중심에 둘지 보여주는 상징적 장치가 될 전망이다. 

기후 위기 대응이 시대적 과제로 부각된 만큼, 환경과 에너지 정책을 어떻게 균형 있게 다룰지가 향후 평가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