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기능이 내달 1일 새로 출범하는 기후에너지환경부로 이관된다.
이에 앞서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29일 전남 나주의 한국전력거래소와 한국전력 본사를 찾아 전력 유관기관과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직원들을 격려했다.
이번 여름 기록적인 폭염으로 전국 평균기온이 25.7℃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고, 8월 25일에는 최대 전력수요가 104.1GW로 잠정 집계되는 등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전력거래소는 실시간 수급 점검으로 전력 부족에 대비했고, 한전은 집중호우 피해를 입은 송전철탑과 변압기 등 전력설비의 신속한 복구에 나섰다.
이번 조직개편으로 산업부 2차관실 산하 에너지정책실, 원전산업정책국, 전력정책관, 재생에너지정책관 등 5개 부서 16개 과가 기후부로 소속을 옮기며, 한전과 발전 5사 등 21개 공공기관도 함께 이관된다.
1993년 상공부와 동력자원부가 통합된 이후 32년 만에 에너지 정책을 전담하는 별도 부처가 다시 생기는 셈이다.
향후 전기요금 결정 권한도 기후부로 이관된다. 지금까지는 한전이 산업부를 통해 기획재정부 협의를 거쳐 요금 인가를 받았지만, 내년 1분기부터는 기후부가 최종 결정한다.
다만 원전 수출 업무는 산업부가 유지하고, 원전 기술 개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담당한다.
김 장관은 "올 여름 더위와 집중호우 속에서도 전력 안정화에 헌신해준 직원들에게 감사드린다"며 "산업 경쟁력을 지탱하는 핵심 요소가 에너지인 만큼, 조직개편 이후에도 산업과 에너지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협력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강조했다.
양준석 기자 kailas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