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인공지능(AI) 전문 트웰브랩스(대표 이재성)는 ‘오징어게임'의 제작사인 퍼스트맨 스튜디오(Firstman Studio)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10일 밝혔다.
콘텐츠 제작사가 영상 AI 기술에 직접 투자한 사례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AI 기술의 실질적 가치를 입증해 냈다는 설명이다.
트웰브랩스의 영상 이해 기술은 영상의 화면, 소리, 맥락을 동시에 분석해 수백 시간 분량에서 특정 장면을 몇초 만에 찾아낼 수 있다. 현재 글로벌 주요 스튜디오, OTT 플랫폼, 방송사들이 방대한 영상 아카이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쓰고 있다.
황동혁 퍼스트맨 스튜디오 대표(오징어 게임 감독)는 "스토리텔링이 더욱 글로벌 해지고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라며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는 창작자들이 엔터테인먼트의 미래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 "트웰브랩스의 기술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관객이 원하는 속도로 완성도 있게 만드는 데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글로벌 스튜디오들의 영상 아카이브에는 수십억 달러의 가치를 갖는 콘텐츠가 저장돼 있지만 실제 활용 비율은 5%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원하는 장면을 찾고 쓸 수 있게 만드는 과정이 느리고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트웰브랩스는 새 영상을 만드는 생성 AI와는 달리, 이미 존재하는 고품질 콘텐츠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집중한다고 설명했다. 영상 메타데이터를 장면 단위로 정밀하게 색인화하고 분석해, 편집자와 감독이 빠르게 작업하면서도 창작 통제권을 완전히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전했다.
글로벌 스튜디오와 OTT, 방송사들은 ▲광고 배치를 위한 광고 적합 장면 자동 선별 ▲아카이브 영상 복원 및 재가공 ▲스포츠 하이라이트 검색 등에 활용하고 있다.
이재성 트웰브랩스 대표는 "글로벌 콘텐츠 제작사의 투자는 트웰브랩스의 기술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실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현장 검증"이라며 "창작자들이 더 혁신적인 이야기를 만들 수 있도록 영상 AI 기술을 계속 발전시키겠다"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