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전문 라이너(대표 김진우)는 리서치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완성된 논문 3편이 세계 첫 AI 저자 중심 학술 행사인 ‘에이전트 포 사이언스(Agents4Science) 2025’에 최종 채택됐다고 23일 밝혔다.
에이전트 포 사이언스는 미국 스탠포드대학교가 주최한 국제 학회로, AI가 과학 논문의 제1 저자이자 동료 심사자로 참여한 세계 최초의 행사다. 전 세계에서 총 253편의 논문이 접수됐으며, 세개의 대형언어모델(LLM)이 1차 심사를 진행한 뒤 상위 80편은 전문 심사 위원의 정성 평가를 거치는 방식이다.
허위 인용을 탐지하는 LLM 기반 검증 시스템이 도입, 채택 논문의 신뢰성을 강화했다. 최종적으로 논문 48편만이 채택,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라이너는 지난 8월 ‘라이너 맥스(Liner Max)’를 무상 지원하는 장학 프로그램을 운영해 도전자들이 AI와 협력해 논문을 작성하고 이번 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제출된 논문 중 3편이 최종 채택됐다. ▲최재영 한국과학영재학교 1학년 학생의 ‘확률적 생화학 모델의 실시간 열역학적 타당성 검증’ ▲정범준 라이너 ML 인퍼런스 엔지니어의 ‘대형 언어 모델의 효율적 연산 자원 배분 전략 분석 연구’와 ▲유윤봉 라이너 프로덕트 총괄의 ‘AI가 사회적 편향을 학습하고 재현하는 인지적 메커니즘 검증 연구’ 등이다.
그중 최재영군의 논문은 상위 11편만 선정되는 ‘스포트라이트(Spotlight)’ 논문으로 채택, 라이너 리서치 AI 에이전트가 연구 생산성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했음을 입증했다. 연구 경험이 전무한 고등학생임에도 AI와 단독으로 협업해, 한 달 만에 국제 학술대회 수준의 논문을 완성했다고 전했다.
세명의 저자들은 논문 작성 과정에서 마주한 어려움을 라이너 리서치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단기간에 해결했다고 전했다. ‘가설 생성 에이전트’로 연구 주제를 구체화하고, ‘인용 추천 에이전트’로 참고 문헌을 신속히 확보했으며, ‘동료 평가 에이전트’를 통해 짧은 시간 안에 여러 차례 검토를 거쳐 논문의 완성도를 높였다는 설명이다.
사회인지 분야의 AI 연구를 진행한 유윤봉 라이너 프로덕트 총괄은 ‘설문 시뮬레이터’를 활용해 300여개의 데이터를 확보했다. AI가 인간의 사고력과 창의성을 확장하는 지적 동료로서 작동하는 새로운 연구 방식, 즉 ‘바이브 리서치(Vibe Research)’가 실현된 사례라고 강조했다.
최재영군은 “라이너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스스로 논문을 완성하고 글로벌 학술대회에 제출할 수 있었다는 점이 가장 인상 깊었다”라며 “AI의 결과물은 결국 질문하는 사람의 사고력에 따라 달라지며, 이제는 ‘얼마나 깊이 있고 본질적인 질문을 던질 수 있는가’가 연구의 핵심이 된 것 같다”라고 말했다.
김진우 라이너 대표는 “최재영 군의 스포트라이트 논문을 포함해 총 3편의 논문이 채택된 것은 ‘바이브 리서치’가 개념적 접근이 아닌 실증적 혁신으로 자리 잡았다는 것을 보여준다”라며 “AI가 반복적이고 시간 소모적인 작업을 대신해 연구자는 더 깊이 있는 사고와 창의적 탐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