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아 카카오 대표(왼쪽부터),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업무협약 체결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정신아 카카오 대표(왼쪽부터),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업무협약 체결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네이버(대표 최수연)는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와 '편리한 공공 서비스를 위한 인공지능(AI) 에이전트 개발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측은 공공 서비스 혜택을 쉽고 편리하게 누릴 수 있도록 민간 플랫폼을 구축, AI 에이전트 기능을 구현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이날에는 카카오도 함께 협약을 발표했다.

민간 AI 에이전트를 통해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국민비서(가칭)’ 시범 서비스를 연내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협력할 예정이다.

AI 국민비서는 민간 기업의 AI 에이전트에 공공 서비스를 연계해 국민이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일상적 대화로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를 기반으로 AI 에이전트를 구축, 이를 공공서비스와 연계한 시범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전자증명서 발급 및 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공유누리) 등 국민 수요가 높은 공공 서비스가 우선 적용 대상으로 검토 중이다. 시범 서비스는 네이버 웹과 앱을 통해 제공될 예정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는 디지털서비스 개방 선도기업으로, SRT 승차권 예매와 국세청 미환급금 조회 등 10개가 넘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라며 “그간의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협약이 미래 행정서비스 혁신의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