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중국이 국산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사용하는 데이터센터에 전력 요금을 최대 50% 인하해 주는 대규모 지원 정책을 시행한다.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에 따라 본격적으로 AI 산업의 국산화와 기술 자립을 강화하려는 조치다.

4일(현지시간) 파이낸셜 타임스에 따르면, 간쑤성과 구이저우성, 네이멍구 자치구 등 중국 내륙 지방 정부는 AI 데이터센터에 산업용 전력 요금의 절반 수준을 적용하는 보조금 제도를 도입했다. 엔비디아나 AMD 등 미국산 칩을 사용하는 시설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번 조치로 해당 지역의 데이터센터는 킬로와트시(kWh)당 약 0.4위안(약 81.1원)의 전기 요금으로 AI 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중국 연안 지역의 평균 산업용 전력 요금보다 30% 저렴한 수준이다. 일부 지방 정부는 여기에 더해 데이터센터 운영비의 1년 치를 충당할 정도의 현금 인센티브까지 지급할 예정이다.

이런 정책은 최근 중국 정부가 엔비디아 AI 칩 사용을 전면 금지한 이후 시행됐다.

이 조치로 인해 화웨이나 캠브리콘 등 중국산 AI 반도체를 사용하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사용량은 30~50%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중국산 칩의 전력 효율이 엔비디아의 중국 전용 칩 'H20'보다 낮기 때문이다. 최신 ‘블랙웰’ 아키텍처와 비교하면 효율 격차는 더 크다.

이에 따라 A데이터센터 운영 기업들은 늘어난 전기 요금에 불만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요금 감면과 보조금 지원을 통해 완화하려는 것이다.

중국은 미국의 반도체 제재에 대응해 국내 생산 역량을 강화하는 노력을 전개 중이다. 화웨이, 캠브리콘, 알리바바, 바이렌 등이 AI 가속기 칩 개발 경쟁에 뛰어들었으며, 특히 화웨이는 ‘어센드(Ascend) 910C’ 칩으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직 성능 면에서는 엔비디아·AMD의 제품에 미치지 못하지만, 중국의 기술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다”라며 “정부의 보조금 정책과 기업 투자 확대가 결합하면 AI 반도체 자립이 예상보다 빠르게 실현될 가능성이 있다”라고 분석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