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중국이 인공지능(AI) 경쟁에서 결국 미국을 앞서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제까지 밝힌 중국 관련 발언 중 가장 강력한 표현으로 주목받았다.
황 CEO는 5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퓨처 오브 AI 서밋’에 참가, “중국이 AI 경쟁에서 승리할 것(China is going to win the AI race)”라고 말했다.
그는 그 이유로 중국의 저렴한 에너지 비용과 느슨한 규제 환경을 꼽았다.
대신 “서방, 특히 미국과 영국은 냉소주의에 빠져 있다”라며 “더 많은 낙관주의가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AI 발전보다 규제에 지나치게 몰입해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미국에서 주 단위로 새로 마련되는 AI 규제가 “50개의 서로 다른 규제 체계”를 낳을 수 있다고 비판했다.
중국은 정부가 적극 지원에 나섰다고 강조했다. 전력 보조금 덕분에 AI 연산 비용이 매우 낮다며, “중국에서는 전기가 사실상 공짜(Power is free)”라고 밝혔다.
최근 중국 정부는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텐센트 등 주요 테크 기업이 운영하는 대형 데이터센터에 대한 에너지 보조금을 대폭 확대했다. 이는 화웨이, 캄브리콘 등 중국 반도체의 전력 효율성이 엔비디아 칩보다 낮아 비용이 증가했다는 업계 불만을 해소하려는 조치로 알졌다.
황 CEO의 발언은 미·중 간 AI 패권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 이후, “엔비디아의 최첨단 블랙웰 칩은 미국 이외의 어떤 나라도 사용할 수 없다”라고 못 박았다. 여기에 중국이 엔비디아 칩을 공식적으로 금지하자, 황 CEO는 “중국 정부의 강경한 입장 탓에 수출 라이선스를 신청하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또 미국이 시장을 봉쇄할수록, 세계가 미국 기술로부터 멀어질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의 최신 AI 모델이 중국 모델보다 우월하다고 단언하기 어렵다”라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그는 “미국이 진정으로 AI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세계 최대 개발자 집단인 중국을 포용해야 한다”라며 “AI는 국경이 아니라 생태계가 승패를 좌우하는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박찬 기자 cpark@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