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AI 대학원 심포지엄 : 코로나 이후 시대, 디지털 뉴딜의 중심 AI 인재 양성' 포스터(사진=과기정통부)
'2020 AI 대학원 심포지엄 : 코로나 이후 시대, 디지털 뉴딜의 중심 AI 인재 양성' 포스터(사진=과기정통부)

인공지능(AI) 대학원이 지난 성과를 돌아보는 자리를 마련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AI 대학원의 운영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방향을 논의할 목표로 4일 '2020 AI 대학원 심포지엄'을 온ㆍ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 이후 시대, 디지털 뉴딜의 중심 AI 인재 양성'을 주제로 ▲AI 분야 해외 석학의 기조 강연 ▲산ㆍ학 협력 방안 논의를 위한 패널 토론 ▲AI 대학원의 연구 성과 발표 등을 진행한다.

과기정통부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으로 오프라인 행사 참석 인원을 최소화하고 온라인 생중계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기조 강연은 로니 로센펠드 미국 카네기멜론대학(CMU) 교수가 'CMU의 기계학습학과는 무엇이며,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를 주제로 발표한다. 카네기멜론대학 기계학습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향후 AI 학과의 발전 방향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어 2017년 아마존 AI 경진대회에서 '대화가 가능한 AI 챗봇'으로 우승한 최예진 워싱턴대 교수의 발표를 진행한다. 최 교수는 '범용 AI(AGI)의 이해'라는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패널 토론은 '디지털 뉴딜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한 AI 산ㆍ학 협력과 인재 양성 방안'을 주제로 했다. 산ㆍ학계 전문가가 모여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AI 인재와 디지털 전환 등을 논의하고 대학 연구 성과를 산업계로 확산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협력 방안을 찾는다.

행사 마지막으로 딥러닝, 시각지능, 데이터 지능 등 AI 대학원의 주요 연구 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광주 AI 컴퓨팅클러스터와 KT(대표 구현모)를 중심으로 한 산ㆍ학ㆍ연 'AI 원팀(AI One Team)'을 소개하는 자리를 갖는다.

과기정통부는 이 날 AI 대학원간 상호 협력과 성과 확산의 구심점 역할을 할 'AI대학원협의회' 출범식을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또 AI 대학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12개 대학 총장과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 간 온라인 간담회도 개최한다고 전했다.

간담회에서 각 AI 대학원의 운영 성과와 추진 계획 등을 공유할 예정이며 향후 AI 대학원 지원 방향도 논의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대학 간 AI 연구 성과 공유를 활성화하길 바라며, AI 대학원 배출 인력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AI타임스 김재호 기자 jhk6047@aitimes.com

[관련 기사][현장스케치] 우리 SW 와 AI기술을 맛보는 흥미로운 기회 ...2020 대한민국 소프트웨어대전

[관련 기사]퀄컴, 26TOPs '6세대 AI 엔진' 탑재 '스냅드래곤888' 공개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