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일본정부가 다음 해부터 AI를 활용한 청춘남녀 만남 지원사업에 나선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스가 요시히데 일본총리가 내년부터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20억엔(1900만달러)를 할당해 지자체의 인공지능(AI) 활용 결혼장려사업을 지원한다고 7일 보도했다.

이 사업은 나이와 연봉 등 희망 조건에 맞지 않더라도 AI가 개개인별로 호감을 가질 만한 사람을 추천, 만남을 가져 저출산을 막는 게 목적이다.

일본 내각부에 따르면 총 47현 가운데 대략 25현이 결혼을 희망하는 남녀를 이어주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나이, 학력, 연봉 등 희망 조건에 맞는 상대를 소개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AI를 활용한 시스템은 취미나 가치관 등 질문에 대한 답변 등을 바탕으로 희망 조건과 일치하지 않아도 ‘호의를 품을 수 있는 사람’을 파악해 제안하는 게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사이타마현과 에히메현 등 10개 넘는 현이 이미 남녀 매칭 시스템에 AI를 사용하고 있다. 2018년에 약 1500만엔을 들여 AI 시스템을 들인 사이타마현은 2019년 성혼한 38쌍 가운데 21쌍이 AI가 이어준 커플이었다고 한다. 일본 정부는 지자체가 AI 시스템을 도입ᆞ운영 하는데 필요한 경비 3분의 2를 보조한다.

일본 민간 결혼정보회사에서도 AI를 도입한 비슷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지만 수수료가 수십만 엔에 달한다. 반면 지자체가 실시하는 결혼장려 사업 대부분은 비용이 1~2만엔 정도로 한정되어 있다.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2000년에 약 80만건이던 혼인 수는 2019년 약 60만건으로 줄었다. 저출산의 주된 요인으로 미혼ᆞ만혼이 지적됐다. 일본 정부는 신혼부부 지원 사업 규모를 두 배로 늘리는 등 혼인을 늘리기 위한 대책 시행을 서두르고 있다.

AI타임스 문재호 기자 jhmoon@aitimes.com

[관련기사] "AI쓰나미를 친구로 맞이하자"...JTBC에서 김성훈 교수 AI 강의

[관련기사] 청첩장에도 AI가?…광주 인공지능사관학교 교장 청첩장 공개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