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반도체 설계 기업 Arm의 전자설계 자동화(EDA) 워크로드가 아마존웹서비스(AWS)의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된다.
전통적으로 반도체 설계 검증은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를 활용해 연산 집약적인 작업을 수행한다.
온프레미스는 클라우드가 아닌 기업이 직접 HPC 장치 등을 구축해서 쓰는 환경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클라우드보다 더 빠르고 성능이 좋을 수밖에 없다.
Arm과 AWS는 더욱 높아진 클라우드 성능을 바탕으로 반도체 산업의 혁신을 주도할 계획이다.
AWS는 EDA를 포함한 대부분의 Arm 워크로드가 AWS를 활용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Arm은 자사의 서버용 CPU인 네오버스(Neoverse)로 구성된 AWS 그래피톤 2 기반 인스턴스를 활용해, EDA 워크로드를 AWS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있다.
검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Arm은 클라우드를 사용하여 실제 컴퓨팅 시나리오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며, AWS의 사실상 무제한인 스토리지와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를 활용해 동시 실행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수를 확장한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온프레미스 방식보다 더 높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 AWS에 따르면,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을 시작한 이후 Arm은 AWS 클라우드에서 EDA 워크플로우의 성능 시간을 6배 향상했다.
또 AWS 클라우드에서 텔레미터링(원격 소스로부터 데이터 수집과 통합)과 분석을 실행함으로써, Arm은 전사적으로 워크플로우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과 자원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보다 강력한 엔지니어링, 비즈니스 및 운영 통찰력을 창출한다.
Arm은 AWS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완료하며 궁극적으로 글로벌 데이터 센터 풋프린트를 최소 45% 줄이고 온프레미스 컴퓨팅을 80% 줄일 계획이다.
르네 하스 Arm IPG 대표는 "Arm 네오버스 기반 프로세서가 장착된 AWS 그래비톤2 인스턴스를 사용해 Amazon EC2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엔지니어링 워크플로우를 최적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프로젝트 일정을 단축해, 그 어느 때보다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고객에게 강력한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AI타임스 양대규 기자 yangdae@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