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오르는 신기술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까. 이머징 테크(Emerging Tech.)에도 코로나19 펜데믹 상황이 영향을 끼쳤다. 모든 이머징 테크가 인공지능(AI) 기술과의 직간접 연관성이 높아졌다.

NI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개년간의 이머징 테크를 분석한 연구보고서 "[DATA INSIGHT] 이머징 테크 2021"을 발간했다. (연구보고서 원문 링크)

COVID-19 관련 5개 범주 기준의 이머징 테크 분류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COVID-19 관련 5개 범주 기준의 이머징 테크 분류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일 NIA 이머징 테크 2021에 따르면, ▲비대면 ▲모바일 ▲인공지능 ▲클라우드 ▲블록체인을 코로나19 관련 상위권 키워드로 선정했다. 

NIA는 "이머징 테크 중 특히 인공지능 분야에 속하는 기술들이 COVID-19와 연관을 맺고 있었다"며 "코로나19로 인해 기존에 이머징 테크로 간주되던 기술 개발이 가속화됐다"고 분석했다.

COVID-Net과 같은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모델이나 실제 의료 현장에서 활용되는 X-ray 이미지 판독, 방역 관점에서 감염 경로 및 확진자 수 예측 등에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는 것이 대표적으로 들 수 있는 사례들이라는 것.

NIA는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신기술 도입이 다소 파격적으로 이루어졌다"며 "이머징 테크 기술이 향후 사회의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나가는 모종의 기폭제 역할을 하게 된 것"이라고 예측했다.

코로나19 영향을 받은 카테고리 외에도, 이머징 테크 키워드 15개 중, 인공지능 관련 키워드가 가장 많았다. 이를 5개의 카테고리로 나눈 결과, 크게 ▲비전 AI ▲스피치 AI ▲언어 AI ▲모빌리티 ▲헬스케어로 분류가 가능했다. 최종 결과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머징 테크  키워드 및 카테고리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이머징 테크  키워드 및 카테고리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카테고리 생성 방법 - 이머징 테크 키워드

NIA는 TF-IDF 기법을 적용해 뉴스 및 논문 코퍼스에 있는 키워드에 대한 분석을 했다. 그 결과 도출한 2020년 뉴스 및 논문 상위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TF-IDF 스코어 기준 상위 키워드, 보조지표 기준 상위 키워드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TF-IDF 스코어 기준 상위 키워드, 보조지표 기준 상위 키워드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NIA는 TF-IDF 스코어 기준 상위 키워드, 보조지표 기준 상위 키워드와 KEM·KIM 매핑 결과를 종합적으로 참고해 우선순위를 정했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 논의를 통해 이머징 테크에 부적합한 것으로 결론이 도출된 키워드는 제외했다. 특히 분석 결과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던 ▲스마트 홈 ▲엑사스케일 슈퍼컴 ▲비대면 ▲실감경제와 같은 키워드는 적용 대상이나 기술이 과도하게 광범위해 구체성이 떨어져 이머징 테크 키워드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생략했다.

▲양자컴퓨터 ▲디지털트윈 ▲SDR과 같은 키워드는 보조지표 순위는 높았지만 TF-IDF 스코어 순위가 매우 낮아 제외했으며, ▲사물인터넷 ▲5G ▲암호화폐 ▲시맨틱웹과 같은 키워드는 TF-IDF 스코어 순위는 높았지만 보조지표 순위가 매우 낮아 제외했다. 비대면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나온 키워드로 별도로 다루었다.

이머징 테크 키워드 15개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이머징 테크 키워드 15개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이러한 과정을 거치고 TF-IDF 스코어 순위가 높았던 키워드 중에서는 ▲언어 모델 ▲기계 번역 ▲GAN ▲가상현실 ▲증강현실 ▲생체 인식이 있었다. 보도지표 순위가 높았거나, 매핑에서 약신호로 분류되었던 키워드는 ▲친환경차 ▲STT ▲딥페이크 ▲자율주행 ▲스마트스피커 ▲음성 인식이 있었다. 

[관련기사] 이머징 테크의 3년 간 동향. NIA 이머징테크2021 분석

AI타임스 배준영 기자 jybae0127@ait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