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개년간의 이머징 테크를 분석한 연구보고서 "[DATA INSIGHT] 이머징 테크 2021"을 발간했다. (연구보고서 원문 링크

DATA INSIGHT는 빅데이터 기반 이슈 스캔을 통해 지능정보사회에 등장할 사회 현안들을 선제적으로 탐지하고, 데이터 기반의 정책의사결정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NIA)에서 기획, 발간하는 보고서. 

◆ 연도별 TF-IDF 스코어 기준 뉴스 · 논문 상위 키워드

연도별 TF-IDF 스코어 기준 뉴스 · 논문 상위 키워드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연도별 TF-IDF 스코어 기준 뉴스 · 논문 상위 키워드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비대면 ▲언택트가 2020년에 새로운 키워드로 등장했고 ▲암호화폐 ▲가상현실 ▲자율주행은 지속적인 순위 하락을 보였다.

특히, 암호화폐가 비트코인 도입으로 피크를 맞은 2018년 대비 중요도가 확연히 감소했으며, 가상현실과 자율주행의 중요도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비대면과 언택트의 등장으로 약간의 순위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인공지능 ▲5G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모바일 ▲증강현실 ▲클라우드는 매년 상위권을 유지했으며, 지속적인 하락을 보인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을 제외하면 큰 순위 변동은 없었다. 모빌리티는 2019년 처음 등장했으나, 이후 상승세를 보이지는 않았다.

◆ 연도별 뉴스 · 논문 이머징 테크 키워드 TF-IDF 스코어 추이

연도별 뉴스 · 논문 이머징 테크 키워드 TF-IDF 스코어 추이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연도별 뉴스 · 논문 이머징 테크 키워드 TF-IDF 스코어 추이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연도별 뉴스 · 논문 이머징 테크 키워드 TF-IDF 스코어 값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연도별 뉴스 · 논문 이머징 테크 키워드 TF-IDF 스코어 값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TF-IDF 스코어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인 키워드는 ▲언어 모델 ▲머신 비전 ▲친환경차. 그 중 언어 모델의 증가 추세가 가장 확연했으며, 머신 비전과 친환경차는 스코어 값이 높지 않아 증가 추세가 덜 확연했다. 반면 기계 번역과 웨어러블의 스코어는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이 외에 스코어 변화가 컸던 키워드는 GAN과 자율주행이며, 추세를 보면 자율주행이 향후 중요도가 더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통 이머징 테크 키워드 TF-IDF 스코어 추이

공통 이머징 테크 키워드 TF-IDF 스코어 추이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공통 이머징 테크 키워드 TF-IDF 스코어 추이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은 둘 다 연도별 스코어에 큰 변화는 없었으나, 상대적으로는 각각 논문과 뉴스에서 증가 추세가 확연했다. 자율주행은 뉴스에서 스코어 변화가 적었지만, 논문에서는 큰 증가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친환경차는 뉴스, 논문에서 스코어가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아직 스코어 값 자체는 낮아 향후 발전이 기대되는 이머징 테크 키워드로 보여진다.

◆ 뉴스 · 논문 이머징 테크 키워드 TF-IDF 스코어 기준 순위 비교

뉴스 · 논문 이머징 테크 키워드 TF-IDF 스코어 기준 순위 비교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뉴스 · 논문 이머징 테크 키워드 TF-IDF 스코어 기준 순위 비교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편, 논문에서는 ▲언어 모델▲GAN ▲생체 인식 ▲딥페이크 ▲기계 번역 ▲자율 주행의 순위가 훨씬 높았다. 클라우드는 순위 차이가 없었고, 블록체인은 일반적인 레벨의 키워드인만큼 뉴스에서 순위가 훨씬 높았다.

또한, 뉴스 키워드의 폭이 논문 키워드의 폭보다 유의미하게 넓었다. 뉴스에서는 사전 키워드 78개 중 매년 70개 이상의 키워드가 나왔던 반면, 논문에서는 매년 절반 수준인 40개 정도의 키워드만 나왔다

이머징 테크에도 인공지능(AI)바람 불었다. NIA 이머징테크2021 분석

차세대 AI 모습은? 강화학습, 하이브리드, 상식·추론, 진화 AI에 주목하라

AI타임스 박나연 기자 nayeon98@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