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정부가 추진하는 인공지능(AI) 반도체 개발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PIM(Processing-In-Memory) 개발 사업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

PIM은 메모리 내부에 연산작업을 하는 AI 프로세서를 융합한 지능형 반도체다. 메모리와 중앙처리장치(CPU)·그래픽처리장치(GPU)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존 폰노이만 방식과 달리, 메모리에서 자체적으로 데이터 연산을 할 수 있다. 메모리와 CPU·GPU 간 데이터 이동이 적어 연산처리 속도가 빠르다. 전력 소모량도 최대 30배 아낄 수 있다. PIM 반도체가 AI 기술 발전에 필요한 핵심 반도체로 꼽히는 이유다.

정부는 올해 1월 PIM 반도체 기술 개발을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신경망처리장치(NPU) 분야에서 뇌 신경 모사 신소자 기술 개발 등 19개 과제를 신규 지원한다. 이를 위해 5개 과제에 115억원을 투입한다. 아울러 PIM 개발 등에 1조원 규모 범부처 중장기 예비타당성(예타)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해당 사업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에서 예비타당성 평가를 한다. 평가 결과는 6~7월 정도에 나올 예정이다. 평가에서 통과하게 되면 하반기부터 국책 과제가 수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해당 사업에 비참여 의사를 밝히면서 시작부터 제동이 걸렸다. 두 기업은 이번 과제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추진위원회로 가는 방향으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도체 개발에 직접 개입하기 보다는 방향만 설정해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메모리 양대산맥인 두 기업이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성과가 나올 수 있지만,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이면서 PIM 반도체 개발은 난항이 예상된다.

사실 두 기업이 정부 추진 과제에 참여할 이유는 크게 없다. 정부 추진 사업에 참여하면 반도체 개발이 정부 주도로 이뤄진다. 기술이 노출될 수 있고, 간섭도 받게 된다.

두 기업은 1년 동안 연구개발(R&D)에 수십조 원을 쓰는 것으로 알려졌다. 1조원 규모 정부 지원 사업에 참여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두 기업은 이미 관련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 중이다. 삼성전자는 이미 올해 2월 '고대역폭 메모리(HBM·High Bandwidth Memory)-PIM'을 선보였다. 기존 AI 시스템에 사용하던 HBM2 아쿠아볼트와 비교했을 때 두 배 이상 성능이 높고, 에너지 소비는 70% 아낄 수 있다.

SK하이닉스도 지능형 메모리인 AIM(Artificial intelligence in Memory)을 개발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대형 국책 과제인 만큼, 정부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참여하길 희망했겠지만, 자체 차세대 메모리 개발 역량을 보유한 기업이 정부 주도 사업에 참여할 이유는 없다"며 "해당 사업은 난항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AI타임스 김동원 기자 goodtuna@aitimes.com

[관련기사] 문재인 대통령 "종합 반도체 강국 도약, 강력히 지원하겠다"

[관련기사] 정부, AI 반도체 1위 달성에 13곳 1253억 투자…'투자 분산' 지적

관련기사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