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기 위한 엔젤투자허브가 광주에 문을 열었다. 지역 특색에 맞는 창업·투자 생태게를 조성하고, 지역 내 AI 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서다. 이를 계기로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광주 AI 시장으로 쏠릴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광주광역시에 따르면 26일 지역 엔젤투자 확대를 위해 조성한 ‘지역 엔젤투자허브’ 개소식이 광주와 대전에서 열렸다. 이날 개소식은 중기부 강성천 차관, 한국엔젤투자협회 고영하 회장, 호남권·충청권 지방 중기청장, 광주·대구 등 8개 지자체, 지역 창경센터장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와 대전 TIPS 타운에서 온라인으로 동시 개최됐다.
행사는 현판식 및 허브협의회 민간위원 위촉패 수여, 지역 투자자와의 간담회 등 순으로 진행됐다. 앞서 중기부는 지역 특색에 맞는 창업·투자 생태계를 조성하고, 수도권에 집중된 창업·투자 생태계를 비수도권에도 확산하기 위해 엔젤투자 생태계가 비교적 활발한 충청권 및 호남권을 엔젤투자허브 대상지역으로 정했다.
엔젤투자는 잠재적 기술력은 높지만 자본과 경영 여건이 취약해 도산하는 1~3년차 창업 초기기업을 대상으로 창업 종잣돈(Seed-Money)을 투자하고 경영 자문도 하면서 성공적으로 성장시킨 후 투자 이익을 회수하는 방식이다.
운영은 엔젤투자 전문성을 보유한 한국엔젤투자협회가 맡으며, 광주와 대전에 지역 허브를 구축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이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투자유치 희망 기업 발굴 ▲기업 투자계획서 작성 및 IR 코칭 ▲지역 네트워크별 엔젤투자 인식개선 교육 및 발굴 ▲창업자–투자자간 맞춤형 네트워크 구축, 수도권-지방간 정보교류 등이 있다.
이와 관련, 광주시는 호남권 엔젤투자허브 구축에 따른 지역 창업자, 투자자에 대한 맞춤형 투자관리와 지원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4월 한국엔젤투자협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특히 광주 지역 특색에 맞춰 인공지능, 그린뉴딜 분야 청년 창업 성공을 위해 지역 우수기술의 기술창업 사업화에 집중해 지원한다.
더불어 한국엔젤투자협회의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인 팁스와 연계하고 엔젤투자펀드 조성으로 지역 우수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창업 성공률을 높일 계획이다. 이용섭 시장은 영상 메시지를 통해 “좋은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진 청년들이면 누구라도 쉽게 창업해서 성공할 수 있는 AI창업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호남권 엔젤투자허브가 투자자와 스타트업 간 탄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교두보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AI타임스 유형동 기자 yhd@aitimes.com
- 광주 청년 AI 기업인들 모였다…광주 인공지능청년협회, AI 생태계 개선 나서
- 이용섭 광주시장, 'AI 집적단지' 예산확보차 광폭행보
- 광주시, 엔젤투자·창업 활성화 나서…지역 AI 스타트업 혜택볼 듯
- AI 기업들, 인공지능 중심도시 광주로…92~95번째 업무협약
- [R] '광주 AI MOU' 기업 100곳 돌파 눈앞…인공지능 전문기업들, 'AI 중심도시 광주'로
- 'AI 중심도시 광주' 실현의 꿈, 판교 성공 요인에서 교훈 찾아야
- 광주 경력단절 여성들, 빅데이터로 날개 달다
- “인재 육성, 창업, 스케일업까지 AI‧모빌리티 분야 플랫폼 역할 톡톡히 할 것”…하상용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장 인터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