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걸 기획재정부 제2차관(오른쪽에서 두 번째)은 16일 오전 동구 광주 AI창업캠프에서 열린 AI산업 활성화 기업간담회에 참석하기에 앞서 조인철 광주광역시 문화경제부시장(왼쪽에서 두 번째)과 함께 AI창업캠프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광주시 제공).
안도걸 기획재정부 제2차관(오른쪽에서 두 번째)은 16일 오전 동구 광주 AI창업캠프에서 열린 AI산업 활성화 기업간담회에 참석하기에 앞서 조인철 광주광역시 문화경제부시장(왼쪽에서 두 번째)과 함께 AI창업캠프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광주시 제공).

안도걸 기획재정부 2차관은 16일 "광주를 명실상부한 빅데이터 댐과 국가 인공지능(AI) 거점기지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 차관은 이날 광주 동구 AI 창업캠프와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에너지클러스터를 방문해 광주 AI 집적단지 조성, 광주·전남 지역혁신사업(RIS) 등 재정사업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안도걸 기획재정부 제2차관을 비롯 조인철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 공진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 박정현 기획재정부 정보통신예산과장, 임차식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 김동훈 NHN 전무, 이현욱 티맥스소프트 전무를 비롯해 유치기업 및 창업자, AI융합대학 교수 등 15명이 참석했다.

안 차관은 광주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사업 추진현황을 보고받은 후 AI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업 간담회를 직접 주재하고 스타트업‧유치기업‧대학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간담회에서 김동훈 NHN 전무는 광주 AI데이터센터를 소개하면서 국산 AI반도체 실증 서비스, 공공부문 클라우드 활성화 지원을, 박현주 ㈜인포웍스 대표는 스타트업의 기술 유출 우려가 염려되는 상황으로 스타트업의 기술을 보호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김민규 ㈜감성텍 대표는 헬스케어 기업의 의료데이터 확보를 위해 규제개선 및 지원, 정현우 스페이스플래닝 예비창업자는 창업 아이디어를 실현해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입주공간, 시제품제작 외에도 교육, 규제 등 관련법령 컨설팅 등 창업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지원의 의견을 냈다. 또 김종원 광주과학기술원 교수는 AI집적단지의 성공적 완성을 위해 전국에서 광주로 찾아올 수 있는 공통 플랫폼의 선제적 구축을 제안했다.

안도걸 기획재정부 제2차관이 16일 오전 동구 광주 AI창업캠프에서 조인철 광주광역시 문화경제부시장과 유치기업 및 창업자, AI융합대학 교수 등과 AI산업 활성화 기업간담회를 갖고 있다. (사진=광주시 제공).
안도걸 기획재정부 제2차관이 16일 오전 동구 광주 AI창업캠프에서 조인철 광주광역시 문화경제부시장과 유치기업 및 창업자, AI융합대학 교수 등과 AI산업 활성화 기업간담회를 갖고 있다. (사진=광주시 제공).

조인철 문화경제부시장은 코로나19로 어려운 와중에도 95개 국내외 인공지능관련 기관·기업과의 업무협약 체결, 인재양성을 위한 전국 최초 인공지능 사관학교 운영 등을 설명하고 AI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건의했다.

이에 안 차관은 국내 AI 산업이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지역의 인공지능 생태계 조성·확산이 시급함을 강조하면서 기업의 다양한 성과가 수요를 창출해 지속적인 지원으로 이어지므로 ▲인공지능 생태계의 핵심거점 육성을 위해 차질 없는 광주 인공지능집적단지 조성사업 추진 ▲인공지능 인재확보를 위해 지역 인재양성 지원확대 ▲지역산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일자리를 적극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답했다.

안 차관은 간담회에 앞서 광주 인공지능 창업캠프의 입주 스타트업을 격려하고 시제품을 체험했다. 안 차관은 “인공지능 기업유치를 비롯해 인공지능투자펀드, 광주AI창업캠프, 인공지능종합지원센터 등 인공지능 중심도시를 향한 광주시의 그간 노력들이 매우 고무적이다”고 평가하면서 “광주 AI집적단지를 인공지능 기반의 지역혁신 성공모델로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조인철 문화경제부시장은 “좋은 기술과 아이디어만 있으면 배낭하나 메고 광주에 오면 창업해 성공할 수 있는 AI창업생태계를 구축하겠다”며 “AI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AI타임스 유형동 기자 yhd@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