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면서 농산물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데이터 중심 정밀농업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대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연구위원은 26일 국제농업박람회의 일환으로 개최된 '인공지능·자율주행 농업기계 발전방향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서 연구위원은 '데이터 기반 정밀농업의 수용성과 체계 구축 방안'이라는 주제로 국내 농업 여건과 구조변화, 정밀농업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구축 추진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서 연구위원은 "과거 토지와 노동 중심이던 농업이 현재와 미래에는 시설과 장비 중심으로 변화할 것이다"며 "데이터와 센서를 활용한 농업의 디지털 전환으로 데이터 농업, 지능형 농업으로 진화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그러면서 서 연구위원은 탄소중립과 농업 인구 감소 등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데이터 중심 정밀농업 체계 구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데이터 중심 정밀농업이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비료, 물 등 투입 자원을 최소화하면서 생산량을 최대화하는 생산방식이다. 정밀농업을 활용하면 적절한 수확량과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환경적으로 안전한 생산체계를 만들 수 있다.
그는 "자재의 적정량 사용으로 고효율 농업의 지향과 농업의 환경적 접근을 위해 더욱 부각되고 있다”며 “정밀농업이 디지털화·탄소중립, 공익직불제 안착과 같은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다. 정보통신기술(ICT) 등 첨단 기술과 접목한 미래농업으로 육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서 연구위원은 "정밀농업은 농민들 사이에서 인지도가 낮은 반면 수용성이 높다"면서 "정부와 민간부분의 적절한 대응 정책 마련이 수반된다면 기술 도입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서 연구위원이 농업인과 전문가 8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밀농업 도입이 필요하다는 데 60% 이상이 동의했다. 비용절감을 통한 경제성 확보와 환경부담을 최소화하는 정밀농업의 장점에 공감대가 형성된 셈이다.
이러한 조사분석 결과를 종합해 서 연구위원은 국내 정밀농업 체계 구축과 확산을 위한 네가지 세부목표를 제시했다. 가장 먼저 생산여건의 체계화를 꼽았다. 관수, 관비 시설 및 센서 등 정밀농업의 기초 인프라 지원과 기상정보 제공, 영농관리 애플리케이션 및 솔루션 제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로 데이터 중심의 농업체계 확립을 강조했다. 데이터 수집분석 체계와 클라우드·플랫폼 서비스를 구축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세 번째로는 전후방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네 번째로 정밀농업 실현과 운영을 위한 전문인력 및 주체 육성을 강조했다. 서 연구위원은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정밀농업을 육성하는 것이 탄소중립시대의 농업 경쟁력이다"며 "향후 농업은 정밀농업에서 스마트 농업, 디지털 농업으로의 변화할 것이기 때문에 시급히 체질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AI타임스 유형동 기자 yhd@aitimes.com
[관련 기사] [리포트] "AI가 농촌 일손부족 해결 열쇠"…농업기계 발전방향 정책토론회 개최
[관련 기사] [전남 농업 미래를 본다] ① 무인 트랙터로 밭 갈고, 앱으로 농지 관리…한국구보다, 자율주행 농기계 시대 앞당긴다
- [리포트] "AI가 농촌 일손부족 해결 열쇠"…농업기계 발전방향 정책토론회 개최
- [전남 농업 미래를 본다] ① 무인 트랙터로 밭 갈고, 앱으로 농지 관리…한국구보다, 자율주행 농기계 시대 앞당긴다
- “전남도 스마트팜, 활성화하려면 생육환경 데이터 세밀히 확보해야” 스마트팜 전문가 이승현 박사 인터뷰
- [전남 농업 미래를 본다] ② "어? 조종사가 없네" 혼자서 농약 뿌리는 '자율비행 드론'
- 2021 국제농업박람회 성공 이끈 '숨은 주역'
- [전남 농업 미래를 본다] ④ '입는 로봇' 착용하면 무거운 비료포대도 거뜬…농작업 효율 대폭 향상될 듯
- "가상공간에서 장 봐요"…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메타버스 준비 '박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