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셔터스톡/편집=조희연 기자)
(출처=셔터스톡/편집=조희연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지뢰 제거 기술 작업에 본격 착수한다. 지뢰탐지 AI 기술 개발을 위해 별도 연구실을 여는 등 최근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오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순), 국방부(장관 서욱), 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김창용), 국방기술진흥연구소(소장 임영일)가 오늘(16일) 육군공병학교에서 지뢰탐지 AI 기술을 위한 연구실(실증랩) 개소식을 열었다.

올 5월부터 진행한 '지뢰탐지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AI+X)' 사업 추진 경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하고 실증랩 투어를 진행했다.

# 지뢰탐지 AI 기술 개발 계기는

현재 사용 중인 금속탐지기(Metal Detector)는 비금속 지뢰탐지가 어렵다.국방부가 작년에 지표투과레이더(GPR)를 해결책으로 제시했지만 소용없었다. 신호·영상 데이터 탐지 시 숙련도에 따라 정확성 차이가 크게 나서다.

AI 기술로 특히 군 장병의 지뢰제거 작업도 안전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지뢰뿐만 아니라 유골 등 지하매설물도 정밀분석해 식별할 수 있다.

# 지뢰탐지 AI 연구 실증랩 역할은

실증랩은 지뢰탐지 신호‧환경 데이터를 연구할 수 있는 시설이다. 국방안전을 위한 핵심 데이터인 만큼 물리적 보안시설, 통신망, 접근 권한 설정 등 각종 보안시스템을 철저히 설계했다.

# 정부의 추가 지원 계획은

과기부는 국방부와 올해 5월부터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로 '지뢰탐지 솔루션 개발'에 나섰다. 군이 갖고 있는 지뢰 데이터(지뢰 위치, GPR)를 AI로 분석해 지뢰제거 작전을 군부대에 지원하기 위해 3년(2021~2023) 동안 총 67.2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다양한 지하 매설물(지뢰, 뼈 등)을 탐지‧식별하는 인공지능 솔루션도 개발할 계획이다. 군 지뢰탐지 장비와 연동되는 통합플랫폼에 시범적용 후 군의 지뢰 제거 작전에 활용할 예정이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관련 기사]AI가 적 식별, 사격 통제까지...미래 전차전의 향방은 인공지능에 달렸다

[관련 기사]스타트업 천국 이스라엘...의료, 국방 등 AI 기술력만큼은 선진국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