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사고에는 늘 골든타임이 있다. 사람이 갑자기 쓰러질 경우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도심 안전사고를 탐지해 관제센터에 전달하는 '딥뷰(DeepView)' 기술을 개발, 대전광역시에 본격 적용할 예정이라고 17일 공개했다.
민옥기 ETRI 지능정보연구본부장은 "딥뷰 기술은 자세가 반듯하지 않아도 높은 정확도로 빠르게 이상행동을 인지해 안전사고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유세종 대전광역시 시민안전실장은 "이 기술은 시민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라며, "향후 확대 적용해 안전한 대전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전했다.
#딥뷰는 어떤 기술인가
CCTV 영상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람을 탐지하는 행동인식 인공지능(AI) 기술이다. 시각 지능을 활용해 주로 도심에서 주취자, 노숙자, 실신 등 쓰러진 사람을 발견하는 데 쓰인다.
#기존 시각지능 행동인식 기술과의 차이점은
기존 시각지능 행동인식 기술은 먼저, 정형 자세의 사람을 추적하고, 자세를 인식하는 등 2단계의 단순한 구조로 이뤄져 있어 웅크리거나 쓰러진 사람은 인식하지 못하고 미탐지해 놓치는 경우가 많았다.
딥뷰는 사람을 18가지 관절 포인트로 나눠 '서다', '걷다', '달리다', '앉다', '웅크리다', '누워있다' 등 6가지 자세 정보로 종합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보다 더 정확한 행동인식이 가능하다.
#개발시 특별히 신경쓴 부분은
자동 검출시 탐지 시간을 줄이면서 자세 인식률을 개선하는 데 주력했다. 단계별로 행동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데이터로 여러 판단 요소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사람 이미지 데이터 5만 5천여 건을 자체적으로 구축했으며, 동시에 딥러닝 학습에 사람 영역, 세부 관절 위치, 자세 등 9만여 건으로 구성된 고품질 데이터셋을 활용하면서 정확도를 높였다.
#활용 전망은
ETRI는 딥뷰를 통해 과기정통부의 '실시간 대규모 영상 데이터 이해·예측을 위한 고성능 비주얼 디스커버리 플랫폼 개발' 과제를 수행 중이다. 2019년과 올해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도 선정된 바 있다.
대전시와는 지난 6월부터 본 기술에 대한 실증을 진행하고 있다. 12월에는 '사람 상태 이해 기술 및 데이터셋'을 공공 인공지능 오픈API·DATA 포털 서비스에 공개할 예정이다.
AI타임스 이하나 기자 22hnxa@aitimes.com
[관련기사] "데이터 사용 특례와 AI 인재창출 방안 필요"...인공지능에 관한 법률안 두고 AI 기관·업체 한 목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