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앞으로 공공편의시설을 찾기가 더욱 수월해질 전망이다. 전국 최초의 지도기반 반응형 웹을 전남 순천시가 구축했기 때문이다. 순천시에 따르면, 지리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생활지리정보 시스템'을 24일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PC뿐만 아니라 스마트폰등 다양한 스마트기기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시민 생활 편의성 증진과 불법 개발행위 감시 효과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전남 순천시가 구축한 생활지리정보 시스템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해 편의시설, 개발행위허가 여부 등의 공공정보를 쉽게 열람할 수 있다. (사진=순천시 제공)
전남 순천시가 구축한 생활지리정보 시스템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해 편의시설, 개발행위허가 여부 등의 공공정보를 쉽게 열람할 수 있다. (사진=순천시 제공)

스마트폰 통해 편의시설 등 공공정보 쉽게 열람

이번 생활지리정보 시스템은 기존 PC기반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반응형 웹으로 구축하여 모바일 등 다양한 기기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또한 GPS(위치정보조회) 기능을 추가하여 현재위치 주변의 공중화장실, 민방위대피시설, 무더위쉼터, 자동심장충격기(AED) 등 생활시설뿐만 아니라 용도지역지구도, 국공유지 정보를 탑재하여 공공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202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대비하여 박람회장 및 지역 내 개방정원에 대한 콘텐츠를 휴대하기 편한 전자지도로도 제공할 계획이며 기존 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던 항공사진, 건축물대장, 토지대장 등의 정보도 동일하게 제공한다. 

불법 개발행위에 대한 공공 감시 효과 기대

시는 전국 최초로 지도기반 반응형 웹을 구축함에 따라, 시범운영을 통해 보완사항 등을 개선하여 2월 중 정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생활지리정보시스템’은 인터넷 검색창에 ‘순천시 생활지리정보시스템’을 검색하면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순천시 토지정보과 관계자는 “이번 시스템 도입을 통해 시민의 정보 접근성을 강화하고, 개발행위 인허가 사항을 시민과 공유함으로써 불법개발행위에 대한 공공감시 효과도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모바일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많은 시민들이 언제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활용하기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생활지리정보시스템’시범운영 보완 의견이나 기타 자세한 사항은 순천시 토지정보과 공간정보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AI타임스 나호정 기자 hojeong9983@daum.net

[관련기사] '대한민국 에너지 수도' 발돋움 위한 나주시의 올해 전략은?

[관련기사] 한전KDN이 키운 지역 대학생 35명, AI·SW교육강사로 나선다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