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노이드가 코딩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노코딩(로우코드) 플랫폼 '딥파이(DEEP:Phi)'를 4월 중순 정식 출시한다. 딥파이는 코딩을 몰라도 마우스 클릭만으로 인공지능(AI)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이다. 누구나 쉽게 연구개발 데이터를 활용해 앱 개발과 서비스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딥노이드는 딥파이 서비스를 대규모로 업데이트하고 내달 중순 정식 출시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딥파이는 데이터만 업로드 하면 각각의 모듈화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데이터 전처리·AI 학습·임상 검증 등 모듈화된 블록을 조합하는 것만으로도 AI 모델 구축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딥파이는 이미지 전처리·고성능 신경망 모듈·최신 알고리즘 등의 개발 플랫폼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한다. 개발자나 고성능 서버,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AI 모델 구축에 필요한 장비없이 AI 모델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딥파이는 의료 및 다양한 산업군별로 도메인 컨설팅, 연구개발, 제품개발 컨설팅, 제품개발 등 일련의 프로세스를 제공해 사용자 편의를 돕는다.
딥노이드는 지난해 사용자들이 딥파이르 경험할 수 있도록 1차 오픈한 바 있다. 2월 말 기준 전국에서 딥파이를 활용해 AI 연구를 진행하는 경우는 총 2413건이다. 이중 457건의 이미지 프로세싱 모듈과 438건의 신경망 모듈이 개발됐다. 595건의 데이터셋도 만들어졌다.
딥노이드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서비스 고도화 및 서브스크립션 라이선스, 고성능 컴퓨팅 자원 등을 위한 부문 유료화도 준비할 예정"이라며 "워드가 쉽다고 누구나 소설을 쓸 수 있는 것은 아닌 것처럼 노코딩 딥파이 플랫폼 교육을 위한 딥파이 아카데미 '딥에듀(DEEP:EDU)' 교육사업도 전국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우식 딥노이드 대표는 "갈수록 어려워지는 소프트웨어(SW) 인재 채용 문제를 딥파이로 극복할 수 있다"면서 "딥파이는 SW 개발에서 인력·비용·기간을 감축시켜주고 개발인력의 과중한 업무량도 분산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딥파이를 사용한다면 사업자의 수익성 향상과 개발 업무환경 개선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AI타임스 김동원 기자 goodtuna@aitimes.com
- [인터뷰] 김진국 코어라인소프트 대표 "AI 폐암 진단 기술 해외 매출 증가, 올해 코스닥 입성 목표"
- 딥노이드, 건양대병원과 MOU 체결...AI 의료기기 활성화 발판 마련
- 베테랑 의료 AI 기업 코어라인소프트 전략은? 폐암 검진에 ‘선택과 집중’
- [AI 주간브리핑] 초거대 AI는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 지난해 성적표 나온 AI 상장사, 기술 저변 확대로 성장 가능성 입증
- 딥노이드 의료영상진단 '딥체스트' SW 품질인증 최고등급 획득
- 위세아이텍, AI 개발 플랫폼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에 등록
- 오픈AI, 노코딩 AI '코덱스'로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