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동 기자.
유형동 기자.

6·1 지방선거가 7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지역 정가가 들썩이고 있다. 초박빙 대선정국에 꼼짝없이 묶였던 지역 의원들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광주광역시장의 경우 이번 지방선거에서 최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과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간에 4년 만의 리턴 매치가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다음 주께 출마선언을 한 뒤 시장직을 사퇴하고 예비후보 등록에 나서기로 하면서 재선 도전을 21일 공식화했다. 이튿날인 22일 강기정 전 정무수석은 "달라진 강기정, 준비된 강기정이 당당하고 빠르게 새로운 광주시대를 열겠다"며 8대 광주광역시장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이들은 향후 한 달여 간 광주의 미래를 책임질 적임자가 누구인지를 두고 당내에서 경쟁하게 될 것이다. 이어지는 본 경선에서 지역민들은 어떤 단체장을 선택할까.

지역 경제를 살리는 시장이 필요하다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높다. 광주의 경제 상황은 수도권·영남권·충청권 등과 비교하면 참혹한 수준이다. 전국 대비 기준으로 지역 내 총생산(GRDP)만 봐도 알 수 있다. 1987년과 2019년을 기준으로 수도권의 경우 지역 내 총생산이 4% 증가했고, 충청권도 3% 가량 올라갔다. 하지만 광주를 중심으로 한 호남권만 2.6% 감소했다.

자동차와 광산업을 중심으로 한 광주 먹거리가 침체의 길로 들어섰다는 분석이다. 차기 광주시장의 어깨가 무거운 이유다. 그나마 이용섭 시장이 인공지능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2020년 기준 GRDP와 1인당 GRDP, 1인당 지역 총소득의 연평균 증가율이 전국 7개 특·광역시 중 1위를 기록한 점이 위안거리다.

새 광주광역시장은 전문적인 식견을 가지고, 적극적인 자세로 시민들과 함께 경제를 부흥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1980년대 수준에서 정신적 성장이 멈춰 버린 이들은 곤란하다는 것이 지역민들의 여론이다. 'MZ세대'로 불리는 20∼30대 젊은 세대들이 광주를 더 이상 '일자리 없는 도시'로 여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지난해 정부가 광주를 AI 혁신 국가거점으로 육성키로 국가정책의 큰 물줄기를 잡았다. 이어 윤석열 당선인도 AI 정책을 탄력적으로 추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차기 광주광역시장은 '인공지능 기반의 경제도시'를 완성해야 하는 시대적 과제를 명심해야 한다. 현 AI 사업 정책 기조를 계승해 최첨단 AI 기반 위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시민들의 소득을 늘리며 관련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 인공지능을 키우고자 하는 진심이 없다면 경제도 놓칠 것이다. 새 광주광역시장은 경제 살리는 'AI 시장'이 돼야 한다.

AI타임스 유형동 기자 yhd@aitimes.com

[관련 기사] "메타버스의 미래, '2022 앨리스콘'에서 알아보자!"

[관련 기사] [Aidea] ㉓ "내 MBTI 맞는 반려식물은?"…AI가 식물 추천부터 성장 관리까지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