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지씨엔에스(대표 김영섭, LG CNS)가 5세대(5G) 이동통신 특화망을 추가 할당했다. 지난 3월 국내에서 두 번째로 해당 망을 사용한 이후 두 곳에 추가 적용할 방침이다. 주파수를 추가 할당한 기업은 이번이 처음이다. 자율이동로봇(AMR), 4K·8K 초고화질 비디오를 적용한 인공지능(AI) 관제 등 지능형 공장 서비스에 활용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과기정통부)는 LG CNS가 추가로 신청한 특화망 '이음5G' 주파수 할당이 3일 완료됐다고 밝혔다. 이음5G는 5G 융합서비스를 희망하는 사업자가 직접 구축할 수 있도록 특정구역 단위로 주파수를 활용하는 통신망이다. 네이버클라우드에 이어 지난 3월 국내에서 두 번째로 해당 주파수를 받은 이후 추가로 신청한 첫 사례다.
LG CNS는 새로 할당한 주파수를 자율이동로봇(AMR), 4K와 8K 초고화질 비디오 기반 AI 관제 등 지능형공장 서비스에 제공할 계획이다. 주파수 대역은 4.7㎓대역 100㎒폭으로 과기정통부는 LG CNS가 신청한 대역 전체를 할당했다.
5세대(5G) 이동통신 특화망을 이용한 첫 번째 사업자는 '네이버클라우드'다. 작년 12월 주파수를 할당했다. 네이버랩스가 개발한 ‘브레인리스 로봇’ 서비스에 우선 활용했다. 해당 로봇은 5G 초저지연기술을 활용해 로봇 자체 고성능 프로세서 없이도 통신망을 통해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있다.
LG CNS에 이어 지난 5월 'SK네트웍스서비스'가 세 번째로 주파수를 할당했다. 자율이동로봇(AMR)을 통한 물류 자동화, 디지털트윈, 실시간 제조공정 모니터링 및 시뮬레이션에 유연한 생산체계에 활용한다. 특히 디지털트윈 서비스가 대규모 데이터 용량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해 28GHz 대역 등 신청한 주파수대역 전체를 할당한 바 있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올해 민·관이 협력해 본격적으로 이음5G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며 “향후 로봇, AI,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등 디지털 전환 기술이 이음5G를 통해 다양한 영역에서 제공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AI타임스 김미정 기자 kimj7521@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