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의료헬스케어 산업이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여 년간 관련 기업수는 250배 늘었고, 종사자도 205배나 증가했다. 여기에다 최근 인공지능(AI) 관련 기업까지 광주에 이전하기 시작하면서 의료 산업이 지역 내 경제활성화의 효자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12일 광주시와 광주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시와 지역 산하기관들이 수년 전부터 의료헬스케어 산업을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광주테크노파크가 의료 산업 육성에 최선봉에 서서 뛰어 왔다. 지역 의료산업이 전무했던 2002년부터 광주테크노파크는 타이타늄특수합금센터를 시작으로 의료헬스케어산업을 육성해 왔다.
치과 위주로 육성되던 의료 산업은 바이오·광의료·정형외과·코스메디케어·안과 등 각종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광주TP도 의료산업 전체로 지원분야를 확대했고, 그 결과 바이오헬스산업 클러스터가 자연스럽게 조성됐다. 그러면서 관련 기업의 최근 3년간 매출액이 연평균 17.4% 고성장했다.
의료 산업의 성장이 지역 내 경제활성화를 주도하고 있다. 광주 의료산업은 20여 년전에는 관련기업 2개와 매출 2억원에 불과했다. 2020년에는 501개사와 매출 1조840억원으로 관련 기업과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그러면서 의료 기업들의 집적화가 이뤄졌고 종사자도 크게 늘었다. 지역 의료 산업 종사자는 20여 년전 22명이었다. 반면 현재 4,525명이 관련 직종에서 근무하고 있다. 일자리 창출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광주TP는 전남대·조선대 등 지역 대학과 손잡고 치과용 부품을 중심으로 기업을 지원해 왔다. 2000년대 초반 생체의료용 소재부품에 대한 규제가 무척 까다로워 다른 지역 의료 기업은 생산을 포기했지만 광주 의료기기 제조 기업들은 산학병연관 네트워크로 끝까지 매달렸고, 외지 기업들도 광주로 이전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했다.
이를 통해 정형외과, 치과 등의 인공관절이나 임플란트와 같은 생체조직 회복을 위한 소재와 부품을 비롯해 안과·광학의료기기 등 생체에 무해하고 적응하기 쉬운 성질을 지닌 생체의료 소재부품을 중심으로 조성된 기업 클러스터는 전국 최고라는 평가다. 최근 광주TP는 광주시와 함께 의사와 기업이 아이디어 발굴부터 제품개발, 임상, 사용성 평가 등 전주기를 함께 진행하는 ‘병원중심 사업’ 및 미래 바이오제약산업의 핵심원료로 주목받고 있는 ‘고순도 펩타이드 국책연구개발 사업’도 선정돼 추진 중이며, 이와 함께 ‘치매예방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질적·양적 성장을 거두고 있는 광주 의료헬스케어 산업이 최근 새로운 성장동력을 얻었다. 기존 기업, 연구기관들과 협업할 수 있는 AI 기업들이 대거 광주로 이전하고 있어서다. 광주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기업·기관의 전문분야를 살펴보면 헬스케어와 관련된 기업이 전체 기업 가운데 약 20%를 차지할 정도다. 광주시가 해당 분야에 역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메가웍스와 지아이랩, 나무인텔리전스, 감성텍 등 30여 개사가 광주에서 신기술을 개발 중이다. 나무인텔리전스는 지역 내 대학병원의 의료데이터를 활용해 인류의 삶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연구 중이다. 시와 테크노파크는 초고령 사회에 대비해 치매 예측 기술개발에도 나서는 등 노화 질환에 특화된 신기술 개발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김선민 광주TP 원장은 “의료헬스케어산업을 광주의 미래 성장 동력산업으로 키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고령화시대 고부가가치산업이자 미래 성장 신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는 의료산업 육성으로 외지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 수출액 증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자리를 잡으면서 우리 지역경제 큰 축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AI타임스 유형동 기자 yhd@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