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가 오는 2030년까지 양자 기술 전문인력 1000명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세운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위해 13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양자기술 분야 인재확보 전략을 주제로 '제1차 전략기술(양자 기술) 인재정책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산업계와 정부출연연구소 및 한국양자정보학회 관계자가 참석, 인재확보 전략 마련을 위한 산·학·연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양자대학원 및 기후기술 인력양성 센터 현판식도 함께 진행했다.

양자 분야 국내 연구자는 500명 수준이다. 미국 3100명, 일본 800명 등에 비해 크게 부족하다. 중점기술별 연구자수는 양자컴퓨팅 261명, 양자통신 187명, 양자센싱 42명이다.

양자 관련 미국 특허를 출원한 국내 발명인은 100명 수준이며, 중점기술별로는 양자컴퓨팅 25명, 양자통신 68명, 양자센싱은 7명이다. 미국, 중국 등이 세계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미국 등 해외에서 활동하는 재외한인 연구자도 50명 내외로 알려졌다.

따라서 과기정통부는 양자 분야 인력의 저변확대와 연구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박사급 인재 양성을 목표로 국내 대학(원)이 연합해 양자대학원을 운영하는 사업을 실시, 올해부터 2024년까지 매년 1개씩 대학연합을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이날 열린 제1차 간담회는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 분야이자 우리나라가 따라잡아야 하는 양자 기술 분야에 대한 인재확보 전략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산업계와 한국양자정보학회 등의 관계자가 참석해 국내외 인력현황 분석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인재확보 정책 방향에 대해 토의했다.

과기정통부는 간담회에 앞서 현판식을 열고, 올해 선정된 고려대학교 주관 9개 대학 연합 양자대학원 운영을 본격화했다. 앞으로 9년에 걸쳐 석박사 대상 양자 특화 전문교육과정 개발·운영 등을 수행하며, 180명 이상의 박사급 인재를 배출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양자 기술 분야 신진 연구자가 지도자급까지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재능 기반의 성장사다리 지원 체계 마련을 검토한다. 또 양자 분야 세계 인재 유치 활성화를 위해 기존 해외 우수과학자 유치사업을 확대한다.

과기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한 전문가 의견 등을 바탕으로 정책과제를 구체화, 12월까지 양자 분야 핵심인재 확보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오태석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2030년까지 양자 전문인력 1000명 이상 확보를 목표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양적 규모 확대뿐만 아니라 연구자 역량도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또 “50큐비트 한국형 양자컴퓨터 구축 등 대규모 연구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핵심기술 개발 및 석박사 공동 교육훈련 등 연구-교육의 유기적 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에는 기후변화 대응 기술 분야 석박사 양성을 위한 ‘기후기술 인력양성 센터’도 출범했다. 수소 분야 기술개발 인력을 양성하는 선도형 센터(인하대학교 주관 4개 대학 연합체) 및 개발된 기술의 해외확산 분야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확산형 센터(고려대학교 주관 3개 대학 연합체)는 3년간 120명 이상의 전문 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