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대 양자기술 4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양자컴퓨터 시연과 1000명 박사급 인재양성을 목표로 내세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양자기술 발전 비전을 공유하고 신속한 기술 추격을 위한 전략적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제1회 양자기술 최고위 전략대화'를 한국과학기술원에서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 10월 선정한 '12대 국가전략기술'에 양자기술을 포함,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 나고 있다. 이번 양자기술 최고위 전략대화는 민-관으로 구성된 최고위급 협의채널이다.
제1회 전략대화에서 정부 측은 2030년대 초 슈퍼컴퓨터를 넘어서는 양자컴퓨터를 시연하고, 현재 100km 수준(단대단 기준)인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전국망급으로 확대하는 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양자 메모리를 기반으로 하는 양자네트워크도 시연하겠다고 밝혔다.
또 향후 5년 내에 배터리 결함․바이러스 검출 등 첨단 산업분야에서 응용 혁신 사례를 창출하고, 향후 10년 전후로 국방 분야 등에 적용가능한 무GPS 항법시스템용 양자센서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더불어 2030년 양자분야 고급 전문인력 1000명 확보를 목표로 양자대학원을 확대하고, 양자연구거점 센터 지정과 함께 대학혁신연구센터 등을 통한 집단연구를 강화하는 한편 양자 분야 해외 우수연구자 유치를 위한 지원을 강화해 나간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양자 분야 인력은 최근 5년간 논문 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490여명, 박사급 이상의 고급 인력은 290명 수준으로 조사된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양자기술 전략로드맵'과 '양자기술 전문인력 확보방안'을 내년 1월 중 발표한다. 또 '중장기 양자기술 전략적 지원방안'도 마련, 내년 상반기 중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이종호 장관은 “우리나라 양자기술은 초기 시장 형성 단계로 불확실성이 커서 민간 기업 참여가 저조하지만, 우리의 약점을 극복 하고 신속히 추격하기 위해서는 양자기술 전 분야에 걸친 협업이 절실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