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래성장과 기술강국 도약을 위해 12개 분야를 '국가전략기술'로 정하고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 ▲첨단 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보안 ▲인공지능(AI)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기술을 '12대 국가전략기술'로 선정하는 등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또 분야별로 집중 지원할 50개 세부 중점기술을 구체화하고, 단기 맟 중장기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했다.
정부는 국가전략기술 선정을 위해 민관 합동으로 검토·분석을 거쳤다고 밝혔다. 더불어 전략 추진에도 민관이 함께 목표를 설정하고 공동 투자하는 등 민관 공동 프로젝트임을 강조했다.
더불어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이를 운영하기 위해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에 '민관합동 전략기술추진단'을 마련한다. 추진단은 관계부처와 기술·외교·안보 전문가를 참여시켜 프로젝트 발굴·추진, 전략기술 정책기획·조정 등 업무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과제는 시급성과 파급력을 기준으로 올해 말까지 세부 추진계획을 구체화해 발표할 예정이다.
우선 과기정통부는 과제 수행을 위해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연구개발 투자액을 올해 3조7400억원에서 4조1200억원으로 10% 늘이고 5G 오픈랜, 양자컴퓨팅, 소형모듈원자로 등 시급한 기술에 2651억 원을 신규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더불어 맞춤형 인재 확보와 해외 파트너십 강화, 산학연 협력 강화는 물론 '국가전략기술특별법' 등 제도 기반을 조성하고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최고 기술선도국 대비 기술수준 90% 이상인 전략기술 분야를 2020년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차세대 통신 등 3개에서 2027년 8개 이상으로 확대하고, 궁극적으로 ‘기술주권 국가’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국가경제와 안보를 연결하는 핵심고리인 12대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정부와 민간의 역량을 총결집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중심으로 민관의 지혜를 모으고 역량을 결집함으로써, 미래성장과 기술주권 확보를 실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 정부, 국내 AI 시장 5년내 3배 이상 키운다
- 'AI융합 실증랩' 전국 개소...AI로 지역산업 지원한다
- 과기정통부, 2030년까지 양자기술 전문인력 1000명 양성 추진
- 한파 직면한 빅테크, 메타버스가 대피소 될까...10월 4주
- 인공지능·디지털 혁신의료기기 의료현장 진입 기간 1/5로 단축
- 정부, 반도체 육성에 1조원 투입
- 산업연구원 "한국 반도체 경쟁력 6개국 중 5위"
- 중기부, 유망 스타트업 1000개 5년간 2조원 이상 지원
- 과기정통부, 'OTT·메타버스·크리에이터' 집중 육성한다
- "국가전략기술 확보 위해 대형 민관 프로젝트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