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양 산업부 장관과 사우디 관계자들이 1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한·사우디 투자 포럼에 참석했다. (사진=산업부) 
이창양 산업부 장관과 사우디 관계자들이 1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한·사우디 투자 포럼에 참석했다. (사진=산업부)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총 300억달러(약 40조원)에 달하는 초대형 협력 프로젝트에 나서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사우디 투자부는 1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이창양 산업장관과 칼리드 알-팔레 투자부 장관을 비롯한 두 나라 정부와 경제계 인사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사우디 투자 포럼'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한국의 주요 기업과 사우디 정부·기관·기업은 에너지 협력, 철도, 화학, 제약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총 26건의 계약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세부적으로는 우리 기업과 사우디 정부 간 협력 양해각서가 6건, 우리 기업과 사우디 기업·기관 간 협력 계약 및 양해각서가 17건, 국내 외국인투자기업(에스오일)과 국내 건설사 간 계약이 3건 등이다.

이번 계약 규모에 대해 알-팔레 사우디 투자 장관은 자국 언론에 300억달러의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등이 보도했다.

우선 울산 2단계 석유화학 사업(샤힌 프로젝트)을 추진하는 에쓰오일이 국내 건설사 3곳(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롯데건설)과 체결한 설계·조달·시공 계약은 단일 사업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의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로 꼽힌다.

사우디의 핵심 사업인 첨단 미래 신도시 '네옴시티' 프로젝트에도 우리 기업들이 잇달아 합류한다. 현대로템은 2조5000억원 규모의 네옴 철도 협력을 위해 사우디 철도청과 손 잡았다.

또 삼성물산 등 5개사와 사우디 국부펀드(PIF)는 사업비 65억달러(약 8조5000억원) 규모의 그린 수소·암모니아 공장 건설 프로젝트 MOU를 체결했다.

이 밖에 화학(롯데정밀화학), 합성유(DL케미칼), 제약(지엘라파), 게임(시프트업) 분야에서 사우디 투자부가,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중소기업인 와이디엔에스와 사우디 데이터인공지능처가 각각 MOU를 맺었다.

주조·단조 공장건설(두산에너빌리티), 산업용 피팅밸브(비엠티), 전기컴프레서(터보윈) 등 제조분야와 백신 및 혈청기술(유바이오로직스), 프로바이오틱스(비피도) 등 바이오분야에서도 양해각서를 주고받았다.

스마트팜(코오롱글로벌), 엔지니어링서비스(동명엔지니어링), 재활용플랜트(메센아이피씨), 투자 협력(한국벤처투자) 등 농업, 서비스, 투자 분야에도 협력관계가 구축됐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이 1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한·사우디 투자 포럼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이창양 산업부 장관이 1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한·사우디 투자 포럼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양국 간 경제협력 관계를 조선, 자동차, 바이오, 청정에너지 등 첨단 제조업과 에너지 협력뿐 아니라 스마트시티, 스마트팜, 교육, 보건, 문화, 서비스 등 전 산업을 망라하는 전 방위 경제협력 관계로 확대 발전하는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행사는 사우디아라비아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 겸 총리의 방한에 맞춰 이뤄졌다. 빈 살만 왕세자는 17일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확대회담과 단독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회담에 앞서 빈 살만 왕세자는 "수교 이래 한국 기업들이 사우디의 국가 인프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며 "특히 에너지, 방위산업, 인프라·건설 등 3개 분야에서 한국과 협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