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가 10만명이 참가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KIST가 개발한 홀로그램 기반 AR 플랫폼 구현 장면 (사진=문체부)
문체부가 10만명이 참가 가능한 메타버스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KIST의 홀로그램 기반 AR 플랫폼 구현 장면 (사진=문체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가 10만명이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메타버스 공연 기술을 구현하고, 여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확보한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4차 문화기술 연구개발 기본계획(2023~2027년, 이하 기본계획)을 21일 발표했다.

보고서를 통해 문화부는 국내 콘텐츠 핵심기술의 수준이 선진국과 비교해 2년 정도 격차를 보이며. 메타버스 분야 기술 수준도 최고 선진국 대비 80%대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문화기술(K-CT) 글로벌 도약으로 문화매력국가 실현’을 비전으로 메타버스 관련 기술 개발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또 콘텐츠 창·제작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온오프라인 연계 공연장 제작 기술을 개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실시간 가상 스튜디오로 제작하는 핵심기술을 개발한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온라인에서 콘텐츠 생산부터 소비까지 전 과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창·제작 기반 기술, 안전한 유통·소비를 위한 저작권 보호 기술 등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콘텐츠, 문화예술, 저작권, 스포츠, 관광 등 문체부 전 분야의 연구개발 업무를 아우르는 최상위 계획이다. 제3차 기본계획이 2022년에 만료됨에 따라 전략자문단과 간담회, 유망기술 특허분석 등을 통해 산학연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산업환경 변화, 기술 동향을 파악한 후 이에 대응하는 제4차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문체부는 문화기술 연구개발 예산 규모를 정부 연구개발 예산 규모의 1% 수준까지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메타버스, 확장현실(XR),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의 발전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우리 문화매력의 확산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우리 문화산업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 핵심 성장 동력이자 게임체인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기본계획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심의·의결을 통해 확정되며, 심의회는 내년 3월 이전에 열릴 예정이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저작권자 © AI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