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은 윤세영 김재철AI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세계적인 인공지능(AI) 학회인 `뉴어IPS(신경정보처리시스템학회) 2022'에서 열린 `세포 인식기술 경진대회'에서 취리히 리서치센터, 베이징대, 칭화대, 미시간대 등의 연구팀을 제치고 우승했다고 28일 밝혔다.
윤세영 교수 연구팀은 초고해상도의 현미경 이미지에서 AI가 자동으로 세포를 인식하는 메디아(MEDIAR) 기술을 개발해 1위를 차지했다. 팀은 지도교수인 윤 교수 외에 이기훈 박사과정, 김상묵 박사과정, 김준기 석사과정 연구원 등으로 구성됐다.
뉴어IPS 운영진은 세포 인식 기술이 여러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임에도, AI 학습이 어려워 발전이 더딘 점 때문에 대회 마지막 날 경진대회를 개최해 연구를 독려하고 있다.
윤 교수 연구팀은 머신러닝에서 소수의 학습 데이터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해 성능을 높이는 데이터 기반 접근법과 인공신경망의 구조를 개선하는 모델 기반 접근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해 메디아 기술을 개발했다.
윤 교수는 “메디아는 세포 인식기술 경진대회를 통해 개발했지만, 기상예측이나 자율주행과 같이 이미지 속 다양한 형태의 개체 인식을 통해 정확한 예측이 필요한 많은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김상묵 박사과정은 "연구 과정에서 많은 실패가 있었지만, 세상에 꼭 필요한 기술이라는 생각으로 끝까지 노력했다ˮ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연구팀은 생명과학 분야 연구의 발전을 돕기 위해 기술을 전면 오픈 소스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학습한 AI 모델과 AI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는 개발자 플랫폼인 깃허브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뉴어IPS는 국제머신러닝학회(ICML), 표현학습국제학회(ICLR) 등과 함께 세계적 권위의 기계학습 및 AI 분야 학회로 꼽힌다.
이성관 기자 busylife12@ai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