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조성호 교수 연구팀, 서울대 고승환 교수 연구팀과 스탠포드대 제난 바오 교수가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및 선도연구센터) 등의 지원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게재됐다.
전자피부는 딱딱한 전자소자를 피부처럼 유연하고 늘어나는 형태로 만든 것으로, 피부에 부착해서 사용하면 인체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어 가상현실 구현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장비는 크기가 크고 유연성이 떨어지며 수많은 관절 조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생성하는 정보도 방대해 실제 활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전도성 액체를 직접 피부에 분사한 후 나노미터(㎚, 10억분의 1m) 단위의 전도성 그물망을 손에 자동으로 인쇄하는 새로운 방식을 적용했다.
손 위의 전도성 그물망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나면서 전기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관측했으며, 이때 획득한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장치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했다.
연구진은 전송된 여러 종류의 전기신호를 인공지능(AI)이 스스로 비교하고 학습하는 과정을 거쳐 서로 다른 손동작을 구별한 후,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몇 번만 반복하면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키보드 없이 손동작만으로 글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임의의 물체를 문지르는 것만으로도 물체의 모양이 화면에 그려지게 하는 등 다양한 가상현실 플랫폼 기술 구현에도 성공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번에 세계 최초로 구현한 기술을 가상현실 및 원격의료 분야 등에서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조성호 교수와 고승환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전자 피부와 최신의 AI 기술을 결합한 첫 사례”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켜 향후 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를 비롯해 AR(증강현실)·VR(가상현실), 원격의료, 로봇공학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라고 말했다.
임대준 기자 ydj@aitimes.com
